[로이슈 편도욱 기자] ◆오뚜기, ‘오뚜기밥’ 누적 생산량 20억 개 돌파
㈜오뚜기는 ‘오뚜기 즉석밥’ 누적 생산량이 20억 개를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오뚜기 관계자는 "지난 2020년 이후 연간 3억 개 내외의 생산량을 이어왔으며, 최근 1년 즉석밥 시장에서 오뚜기 점유율은 31.6% (수량 기준, 닐슨 출처)를 차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지난 2004년 ‘맛있는 오뚜기밥’으로 즉석밥 시장에 진출했으며, ‘오뚜기밥’은 좋은 쌀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쌀의 보관, 밥의 조리 과정, 위생 처리 과정 등 위생적이고 맛있는 밥을 만들기 위한 철저한 준비를 거쳐 탄생했다"라고 말했다.
현재 ㈜오뚜기가 선보인 즉석밥은 백미류(흰밥, 고시히카리, 골드퀸 등 3종), 잡곡류(발아현미, 발아흑미, 찰현미, 오곡 등 4종), 식감만족(찰기가득 진밥, 고슬고슬 된밥, 찰진 흑미잡곡밥, 부드러운 현미잡곡밥 등 4종), 오뮤(제육고추장, 귀리잡곡, 버섯된장, 가뿐한끼 현미밥 등 4종)으로, 총 4개 라인, 15종이다.
2008년에는 오뚜기 즉석밥이 ‘우주식품’으로 선정되며 대중적인 유명세와 소비자 인지도에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기존의 우주밥이 건조밥 형태로 일반 가정식이나 간편조리식품에 비해 식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은 반면, 우주식품으로 선정된 오뚜기 즉석밥은 수분 60% 이상을 함유해 봉지째로 데워 먹을 수 있게 고안됐다.
㈜오뚜기는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고려한 제품을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다. 2004년 발아현미ㆍ발아흑미밥을 출시한데 이어, 2011년 찰현미밥, 2014년 오곡밥 등을 선보이며 잡곡류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온라인 간편식 브랜드 ‘오뮤’를 통해, 수분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곤약’을 활용한 ‘곤라이스’를 출시해 가볍고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를 사로잡았다. ‘식감’을 기준으로 한 제품도 눈에 띈다. 지난해 7월 선보인 '식감만족' 라인은 곡물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기존 제품과 달리, ‘고슬고슬 된밥’, ’찰기가득 진밥’ 등 식감을 기준으로 밥맛을 구현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광명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홍보관 '더가치홀' 개관
경기 광명지역의 사회적경제 제품을 홍보하는 전시관 '더가치홀'이 30일 광명시 일직로 43 GIDC(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에 문을 열었다.
더가치홀은 지아이디씨㈜가 시에 기부채납한 GIDC A동과 B동 사이 연결 브릿지 업무시설공간 130.01㎡에 시비 2억6천여만원이 투입돼 지난해 말 마련됐다.
이곳에는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광명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제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비롯해 회의실, 커뮤니티 시설을 갖췄다.
◆글로벌청소년센터,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탄 다지기 참가자 모집
사단법인 글로벌청소년센터(대표 김수영)는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탄 다지기'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모집 기간은 2월 10일까지고, 모집 인원은 15명 미만이다.
재단법인 바보의나눔(이사장 손희송 주교)의 공모 배분 사업의 하나로 선정된 이 프로그램은 이주배경청소년에게 전문적인 취업 준비 과정을 교육하는 것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오뚜기는 ‘오뚜기 즉석밥’ 누적 생산량이 20억 개를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오뚜기 관계자는 "지난 2020년 이후 연간 3억 개 내외의 생산량을 이어왔으며, 최근 1년 즉석밥 시장에서 오뚜기 점유율은 31.6% (수량 기준, 닐슨 출처)를 차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지난 2004년 ‘맛있는 오뚜기밥’으로 즉석밥 시장에 진출했으며, ‘오뚜기밥’은 좋은 쌀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쌀의 보관, 밥의 조리 과정, 위생 처리 과정 등 위생적이고 맛있는 밥을 만들기 위한 철저한 준비를 거쳐 탄생했다"라고 말했다.
현재 ㈜오뚜기가 선보인 즉석밥은 백미류(흰밥, 고시히카리, 골드퀸 등 3종), 잡곡류(발아현미, 발아흑미, 찰현미, 오곡 등 4종), 식감만족(찰기가득 진밥, 고슬고슬 된밥, 찰진 흑미잡곡밥, 부드러운 현미잡곡밥 등 4종), 오뮤(제육고추장, 귀리잡곡, 버섯된장, 가뿐한끼 현미밥 등 4종)으로, 총 4개 라인, 15종이다.
2008년에는 오뚜기 즉석밥이 ‘우주식품’으로 선정되며 대중적인 유명세와 소비자 인지도에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기존의 우주밥이 건조밥 형태로 일반 가정식이나 간편조리식품에 비해 식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은 반면, 우주식품으로 선정된 오뚜기 즉석밥은 수분 60% 이상을 함유해 봉지째로 데워 먹을 수 있게 고안됐다.
㈜오뚜기는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고려한 제품을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다. 2004년 발아현미ㆍ발아흑미밥을 출시한데 이어, 2011년 찰현미밥, 2014년 오곡밥 등을 선보이며 잡곡류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온라인 간편식 브랜드 ‘오뮤’를 통해, 수분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곤약’을 활용한 ‘곤라이스’를 출시해 가볍고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를 사로잡았다. ‘식감’을 기준으로 한 제품도 눈에 띈다. 지난해 7월 선보인 '식감만족' 라인은 곡물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기존 제품과 달리, ‘고슬고슬 된밥’, ’찰기가득 진밥’ 등 식감을 기준으로 밥맛을 구현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광명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홍보관 '더가치홀' 개관
경기 광명지역의 사회적경제 제품을 홍보하는 전시관 '더가치홀'이 30일 광명시 일직로 43 GIDC(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에 문을 열었다.
더가치홀은 지아이디씨㈜가 시에 기부채납한 GIDC A동과 B동 사이 연결 브릿지 업무시설공간 130.01㎡에 시비 2억6천여만원이 투입돼 지난해 말 마련됐다.
이곳에는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광명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제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비롯해 회의실, 커뮤니티 시설을 갖췄다.
◆글로벌청소년센터,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탄 다지기 참가자 모집
사단법인 글로벌청소년센터(대표 김수영)는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탄 다지기'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모집 기간은 2월 10일까지고, 모집 인원은 15명 미만이다.
재단법인 바보의나눔(이사장 손희송 주교)의 공모 배분 사업의 하나로 선정된 이 프로그램은 이주배경청소년에게 전문적인 취업 준비 과정을 교육하는 것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