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제약
-
HLB, ASCO 2025서 리보세라닙 임상 무더기 발표
세계 최대 규모의 암 학회인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에서 리보세라닙 관련 연구자 주도 임상 결과가 다수 발표되며, 리보세라닙의 학술적 가치와 다양한 적응증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부각됐다.HLB는 3일(현지시간) 폐막한 ASCO 연례회의에서 리보세라닙 관련 연구자 주도 임상이 총 15건 발표됐다고 밝혔다. 해당 임상들은 두경부암, 담도암, 위암 등 총 9개 암종을 대상으로 리보세라닙 단독 또는 다양한 병용 요법으로 진행됐다.대표적인 임상은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1차 치료제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자 임상 2상이다(초록번호 e18005). 임상 결과, 1차 지표인 전체생
-
대웅제약,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베르시포로신’ 임상 2상 중간 발표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지난 5월 16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2025)’에서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이하 IPF) 치료제 후보 물질 ‘베르시포로신(DWN12088)’의 글로벌 임상 2상 설계와 환자 등록 현황에 대한 중간 분석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18일 개최된 ATS 공식 세션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 모니터링, 치료의 최신 동향’(WHAT’S NEW IN ILD DIAGNOSIS, MONITORING, AND TREATMENT)에서 진행됐으며, 임상 총괄 책임연구자인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송진우 교수가 직접 발표자로 나섰다.이번에 발표된 중
-
[건강]매운맛 즐기다 위장병? ‘맵부심’이 부른 건강 경고
매운맛을 즐기는 소비자들을 일컫는 ‘맵부심’, ‘맵덕’과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면서, 매운 라면, 떡볶이, 족발, 불닭 등 매운 음식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맵집’이라 불리는 매운맛 전문 식당도 늘어나고 있다.이에 ‘매운맛 챌린지’와 같은 체험형 콘텐츠가 활발히 제작되고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매운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를 뜻하는 ‘위쑤시개’ 같은 신조어도 꾸준히 탄생하고 있다. 매운맛은 이제 단순한 음식 소비를 넘어 하나의 문화이자 트렌드로 확산되고 있다.매운맛의 주요 성분인 캡사이신은 혀 및 구강 내 통각 수용체를 자극하여 통증과 유사한 신호를 뇌에 전달한다. 실제 통증은 아니지
-
고려대 구로병원, 로봇수술 5000례 기념 심포지엄 성료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 로봇수술센터(센터장 비뇨의학과 김종욱 교수)는 로봇수술 5000례를 기념해 지난 5월 28일 본원 새롬교육관 1층 대강당에서 '로봇수술 5000례 기념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로봇수술 5000례 달성을 기념하고, 다학제적 협업을 통해 이룬 성과를 공유함과 동시에 로봇수술의 최신 지견과 미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번 심포지엄은 진료과별 주제로 총 5개의 세션이 진행됐다. 비뇨의학과 세션(좌장: 비뇨의학과 문두건 교수)에서는 ▲로봇 근치적 전립선절제술(비뇨의학과 김종욱 교수) ▲로봇 단순 전립선절제술(비뇨의학과 안순태 교수)의 발표가 진행되었으
-
부광약품, 간장질환용제 신제품 ‘레가덱스’ 출시
부광약품이 간장질환용제 신제품 ‘레가덱스(성분 우르소데옥시콜산+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부광약품에 따르면 레가덱스는 간장질환용제 레가론의 라인업 확장 차원에서 발매하는 부광약품 최초의 복합제다. 레가덱스의 성분은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다. UDCA는 항염증, 항산화 효과로 AST(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를 신속하게 정상화하는 작용기전이 있고, DDB는 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 수치를 빠르게 떨어트리는 강점이 있다. 간 건강 지표로 흔히 활용되는 AST, ALT는 염증과 관계가 있다. 염증으로 간 세포가 손상되면 이 효소들이 피로 빠져나와
-
분당서울대병원, 심장초음파만으로 좌심실비대 원인 감별하는 AI 기술 개발
분당서울대병원은 본원 순환기내과 윤연이 교수 연구팀이 심장초음파 영상만으로도 좌심실비대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원인까지 구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고 2일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좌심실은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심장의 핵심부위로, 전신에 혈류를 공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좌심실의 벽(심근)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심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좌심실비대’라고 하며, 고혈압성 심장병 고혈압성 심장병, 비후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법과 예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매우
-
증가하는 유방암 환자...조기 발견과 치료로 관리 가능
유방암은 유방의 유선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국내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최근에는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 수는 2019년 22만2014명에서 2023년 29만 934명으로 4년간 약 31% 증가했다.하지만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 성과가 뛰어난 암으로 꼽힌다. 실제로 국내 유방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021년 기준 93.8%에 달한다. 암 중에서는 예후가 비교적 좋은 편에 속하고,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만 이뤄진다면 완치도 기대할 수 있다.유방암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
다보스병원, 2025년 4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발대식 개최
의료법인 영문의료재단 다보스병원(이사장 양성범)은 30일, 병원 지하 3층 대강당에서 ‘2025년 4주기 의료기관 인증조사 준비위원회(TFT) 발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인증 준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이번 발대식은 보다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인증평가 준비를 통해 병원의 의료 서비스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환자안전이라는 핵심 가치를 전 직원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인증 TFT 위원을 비롯해 전 부서 실과장 등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했으며, 준비위원회 조직 소개, 위촉장 수여, 결의문 낭독 등을 통해 전 직원의 참여와 의지를 다지는 자리가 됐다.다보스병원 양성범 이사장은 “의료기관 인증은 단순한 외부 평가
-
GC녹십자웰빙, 기능의학 ‘7 Core’ 심포지엄 개최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은 지난 24일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7 Core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GC녹십자웰빙의 대표 품목인 태반주사 ‘라이넥주’를 비롯하여 면역 기능 향상 주사 ‘싸이모신알파원 주사’, 장 점막 재생 효과가 있는 고농도 L-글루타민 주사 등을 중심으로 7 Core 中 ‘면역, 에너지, 소화기 Core 맞춰 최신 지견과 치료법을 공유했다.특히 ‘기능의학연구회’ 소속 의료진이 연자로 참여한 이번 심포지엄에서 세부 발표는 박춘묵 좌장 외 3명의 연자로 구성되었다. 먼저, ▲ 에너지 Core ‘만성피로 환자 맞춤형 영양치료_미토콘드리아 & 부신 기능’ (GC녹십
-
GC지놈, 청약 증거금 2조 5415억원..."경쟁률 484대 1"
액체생검 및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은 지난 29일부터 이틀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상장을 위한 청약을 진행한 결과, 484.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른 청약 증거금은 2조 5415억원으로 집계됐다.GC지놈은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당시 1692개 기관이 참여해 16억 4240만 9961주를 신청해 547.4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에 최종 공모가는 희망 밴드의 상단인 1만 500원으로 확정된 바 있다.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며, GC지놈은 오는 6월 4일 납입을 거쳐 다음 달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GC지놈은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을 ▲암
-
빅5 병원 입원 환자 전년 대비 15.7% 증가…"진료 체계 ‘정상화’ 조짐"
최근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입원 환자 수가 늘어나면서, 의정 갈등 여파에 따른 운영 축소가 정상화되고 있다.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월 17일부터 지난 16일까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입원 환자는 주말을 제외하고 총 121만 7438명으로 의정 사태 초기인 지난해 같은 기간의 111만 7775명 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술·입원 환자가 가장 많은 이른바 ‘빅5’(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 병원의 입원 환자는 이 기간 6만 3175명에서 7만 3107명으로 15.7% 늘었다.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지난해 한때 병상 가동률이 50%대로 급감했지만 현재는 70%에 근접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의정 갈등
-
일동제약그룹 아이디언스, 美 임상종양학회서 ‘베나다파립’ 임상효능 발표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개발 전문 회사인 아이디언스(대표 이원식)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자사의 PARP 저해제 계열의 항암 신약 후보물질 베나다파립의 병용 요법에 관한 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9일 밝혔다.‘ASCO’ 연례 학술대회는 전 세계 종양학자 및 연구자, 의료계·산업계 관계자 등이 참가하는 암 분야 최대 규모의 행사로, 올해는 미국 시카고에서 5월 30일부터 6월 3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이번 학회에서 아이디언스는 3차 치료 이상의 전이성 위암(mGC) 환자를 대상으로 베나다파립과 이리노테칸 병용 요법과 관련한 다국적 1b/2a상 임상 시험(NCT04725994)의 탐색적 분석에서 얻은 연구 성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할
-
동아제약, 여성청결제 ‘지노렉스 페미닌 클린폼’ 리뉴얼 출시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의 여성Y존 케어 전문 브랜드 ‘지노렉스(Gynolax)’가 여성청결제 ‘지노렉스 페미닌 클린폼’을 리뉴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신제품은 여성의 민감한 Y존을 위해 라벤더꽃수, 보리지추출물 등 6가지 식물 유래 성분과 비건 인증 원료를 사용해 개발한 제품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아로마바이옴, 판테놀, 솔비톨 등 특허 받은 원료 성분이 결합되어 항균, 냄새, 민감해진 피부 보습 및 진정 관리에 도움을 준다.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질염의 대표 원인균인 대장균과 칸디다균에 대해 99%의 항균 효과를 확인했으며, 탈취 성능 시험에서도 98% 이상의 탈취 효과가 입증되어 불쾌한 냄새로 인한 고민을 덜어준
-
JW신약, ‘마이딜 5% 폼 에어로졸’ 출시..."탈모치료제 포트폴리오 강화"
JW신약은 탈모 치료 외용제 신제품 ‘마이딜 5% 폼 에어로졸’을 출시하며 탈모 케어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마이딜 5% 폼 에어로졸’은 미녹시딜 5%를 함유한 일반의약품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남성형 탈모증(안드로젠탈모증)과 여성형 탈모증 모두에 효과가 있으며, 기존 액상 또는 겔 제형 대비 사용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이 제품은 거품 형태로 탈모 부위에 간편하게 바를 수 있고, 끈적임이나 흘러내림 없이 빠르게 흡수된다. 덕분에 머리카락이 엉켜 붙는 불편함이 적고, 바쁜 일상 속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탈모 관리에 편의성을 더했다.성별에 따라 사용 권장 기간에는 차이가 있다.
-
광동제약 비타500, 미국 공군기지(AAFES) 내 한국 상설매장 입점
광동제약(대표이사 회장 최성원)은 자사 대표 비타민 음료 ‘비타500’이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군기지 내 AAFES(육·공군교역처, Army & Air Force Exchange Service) 한국 소비재 상설매장에 입점했다고 29일 밝혔다.광동제약은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추진한 ‘2025 미 공군기지 소비재 상설매장 입점 지원사업’을 통해 AAFES 유통망에 진출하게 됐다. AAFES는 미군 및 미군 관계자,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종합 쇼핑몰로, 입점을 위해서는 제품 품질과 안정성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비타500은 AAFES 내 한국 소비재 상설매장 ‘숍 코리아(SHOP KOREA)’에서 오는 8월까지 판매된다. 광동제약은 시음 행사와 다양한 프로
-
HLB펩, ‘야뇨증 치료제’ 원료의약품 대만 식약처 품목 허가 획득
국내 펩타이드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HLB펩’(구 애니젠)이 개발한 원료의약품(API)이 대만 식약처의 품목 허가를 획득하며, HLB펩의 글로벌 확장에 청신호가 켜졌다.29일 HLB펩에 따르면 본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펩타이드 제조 GMP 인증을 받아 다년간 펩타이드 의약품 및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HLB펩에서 공급한 야뇨증 치료제(데스모프레신)가 대만 식약처의 품목 허가를 받으며, HLB펩은 국내에 집중된 매출을 해외로 다변화할 수 있게 됐다.데스모프레신은 야뇨증이나 중추성 요붕증(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과도한 소변생성) 등의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의약품이다. 데스모프레신의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14억
-
자생한방병원, KB국민은행과 상호 공동발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자생의료재단(이사장 박병모)은 지난 28일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자생메디바이오센터에서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과 ‘상호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자생의료재단 박병모 이사장과 KB국민은행 강남지역 영업그룹 고덕균 부행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자생의료재단과 자생한방병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KB국민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선정, 업무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KB국민은행은 자생의료재단과 자생한방병원 의료진 및 임직원 대상 신용대출 금리우대 등 금융서비스 편의를 제공한다.특히 KB국민은행은 자생의료재단의 사회공헌사업 확대를 위한 기금 지원도 약속했다. 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