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경기도 미분양 물량이 줄어든 가운데 안양, 수원, 오산, 광명, 광주 등 한강 이남의 남부권 지역에서 감소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경기도 미분양 물량은 1만513가구로 1월(1만5135가구) 대비 30% 이상 줄었다. 전국에서 인천(47%), 울산(36%)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감소율을 기록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1월 당시 누적된 미분양 물량이 없었던 안산, 의왕, 과천 등을 제외하고, 안양, 수원, 오산, 광명, 광주 등 5개 지역이 도내에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수원은 236가구에서 6개월 만에 미분양을 모두 해소했고, 안양은 273가구에서 70가구로 74%의 감소율을 기록하며 미분양 해소 흐름이 뚜렷했다. 광주 역시 899가구에서 261가구로 71% 줄며 안정적인 미분양 감소세를 보였다. 오산과 광명의 경우 98% 이상 감소하며 미분양 제로 달성이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경기도 미분양 감소세는 사실상 남부권이 주도하는 모습이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남부권 지역들은 수요 기반이 탄탄하고 공급이 제한적인 만큼 향후에도 빠르게 미분양을 해소하며 뚜렷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도 화성(-64%)과 고양(-50%)이 미분양 물량의 50% 이상을 털어냈고, 가평(-47%), 평택(-46%), 이천(-36%), 안성(-32%) 등도 경기 평균(-31%) 보다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북부권을 포함한 6개 지역은 미분양이 오히려 증가했다. 양주(+125%), 김포(+107%), 시흥(+14%), 양평(+6%), 남양주(+4%) 등이 증가세를 보였고, 여주는 올해 1월 6가구에서 7월 448가구로 70배 이상 급증했다. 공급 부담과 적체 물량이 겹친 북부권 일부 지역은 단기간 내 미분양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미분양이 줄어드는 추세지만, 지역별 편차가 뚜렷하다”며 “입지 경쟁력을 갖춘 안양, 수원, 오산 등 남부권은 탄탄한 수요와 제한적인 공급으로 미분양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는 반면, 일부 북부권은 공급 부담과 누적 물량 탓에 미분양 해소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 향후 시장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기도의 미분양 감소세가 뚜렷한 가운데 연내 분양하는 경기권 신규 단지들에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오는 10월 안양시 평촌동 934번지 일원에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이 있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8층, 4개동 규모로 들어서며, 전용 47~119㎡로 다양한 평면을 갖췄다. 최상층 스카이라운지와 피트니스클럽, GX룸, 어린이 도서관, 키즈카페 등 고급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한다.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된 단지들의 중심에 자리하며, 귀인초, 민백초, 안양남초, 동안초를 비롯해 귀인중, 대안중·대안여중, 신기중, 백영고, 평촌고 등 명문학군이 가까운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췄다.
GS건설은 10월 경기 용인 수지구에서 ‘수지자이 에디시온’을 분양할 예정이다. 수지구 풍덕천동 일원에 들어서며, 전용면적 84~152㎡P 총 480가구로 조성된다. 분당선 동천역과 수지구청역이 도보 이용이 가능하며, 풍덕초, 수지중, 수지고 등이 도보 거리 내에 인접하다. 신세계 사우스시티, 스타필드마켓, 보정동 카페거리 등 편의시설도 가깝다.
호반건설은 경기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에서 ‘호반써밋 풍무(가칭)’를 10월 공급 예정이다. 전용면적 84∙112∙186P㎡, 총 956가구 규모며, 호반건설은 B4블록, C5블록에도 추가로 공급할 예정으로, 풍무역세권 내 총 3개 블록에 총 2,580가구 규모의 ‘호반써밋’ 브랜드 타운을 완성할 예정이다. 김포골드라인 풍무역 초역세권 단지이며, 호반건설이 공급하는 3개 블록은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내에서도 가장 뛰어난 입지라는 평가다.
현대건설은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인접한 초역세권 단지인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을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아 최고 42층 4291가구 대단지로 짓는다. 이 중 652가구(전용면적 39~84㎡)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광명전통시장은 물론,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철산역을 일대 상권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우미건설이 9월 오산시 서2구역 개발을 통해 ‘오산 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 84·94·101㎡, 총 1424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특히 반도체 중심의 자족형 커넥트 시티로 개발이 추진되는 세교3지구(계획)와 세교2지구의 사이에 위치해 미래가치가 기대되며, 바로 옆에 자리한 서동저수지가 수변공원 특화 개발을 앞두고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도 누릴 수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경기도 미분양 물량은 1만513가구로 1월(1만5135가구) 대비 30% 이상 줄었다. 전국에서 인천(47%), 울산(36%)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감소율을 기록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1월 당시 누적된 미분양 물량이 없었던 안산, 의왕, 과천 등을 제외하고, 안양, 수원, 오산, 광명, 광주 등 5개 지역이 도내에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수원은 236가구에서 6개월 만에 미분양을 모두 해소했고, 안양은 273가구에서 70가구로 74%의 감소율을 기록하며 미분양 해소 흐름이 뚜렷했다. 광주 역시 899가구에서 261가구로 71% 줄며 안정적인 미분양 감소세를 보였다. 오산과 광명의 경우 98% 이상 감소하며 미분양 제로 달성이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경기도 미분양 감소세는 사실상 남부권이 주도하는 모습이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남부권 지역들은 수요 기반이 탄탄하고 공급이 제한적인 만큼 향후에도 빠르게 미분양을 해소하며 뚜렷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도 화성(-64%)과 고양(-50%)이 미분양 물량의 50% 이상을 털어냈고, 가평(-47%), 평택(-46%), 이천(-36%), 안성(-32%) 등도 경기 평균(-31%) 보다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북부권을 포함한 6개 지역은 미분양이 오히려 증가했다. 양주(+125%), 김포(+107%), 시흥(+14%), 양평(+6%), 남양주(+4%) 등이 증가세를 보였고, 여주는 올해 1월 6가구에서 7월 448가구로 70배 이상 급증했다. 공급 부담과 적체 물량이 겹친 북부권 일부 지역은 단기간 내 미분양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미분양이 줄어드는 추세지만, 지역별 편차가 뚜렷하다”며 “입지 경쟁력을 갖춘 안양, 수원, 오산 등 남부권은 탄탄한 수요와 제한적인 공급으로 미분양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는 반면, 일부 북부권은 공급 부담과 누적 물량 탓에 미분양 해소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 향후 시장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기도의 미분양 감소세가 뚜렷한 가운데 연내 분양하는 경기권 신규 단지들에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오는 10월 안양시 평촌동 934번지 일원에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이 있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8층, 4개동 규모로 들어서며, 전용 47~119㎡로 다양한 평면을 갖췄다. 최상층 스카이라운지와 피트니스클럽, GX룸, 어린이 도서관, 키즈카페 등 고급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한다.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된 단지들의 중심에 자리하며, 귀인초, 민백초, 안양남초, 동안초를 비롯해 귀인중, 대안중·대안여중, 신기중, 백영고, 평촌고 등 명문학군이 가까운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췄다.
GS건설은 10월 경기 용인 수지구에서 ‘수지자이 에디시온’을 분양할 예정이다. 수지구 풍덕천동 일원에 들어서며, 전용면적 84~152㎡P 총 480가구로 조성된다. 분당선 동천역과 수지구청역이 도보 이용이 가능하며, 풍덕초, 수지중, 수지고 등이 도보 거리 내에 인접하다. 신세계 사우스시티, 스타필드마켓, 보정동 카페거리 등 편의시설도 가깝다.
호반건설은 경기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에서 ‘호반써밋 풍무(가칭)’를 10월 공급 예정이다. 전용면적 84∙112∙186P㎡, 총 956가구 규모며, 호반건설은 B4블록, C5블록에도 추가로 공급할 예정으로, 풍무역세권 내 총 3개 블록에 총 2,580가구 규모의 ‘호반써밋’ 브랜드 타운을 완성할 예정이다. 김포골드라인 풍무역 초역세권 단지이며, 호반건설이 공급하는 3개 블록은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내에서도 가장 뛰어난 입지라는 평가다.
현대건설은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인접한 초역세권 단지인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을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아 최고 42층 4291가구 대단지로 짓는다. 이 중 652가구(전용면적 39~84㎡)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광명전통시장은 물론,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철산역을 일대 상권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우미건설이 9월 오산시 서2구역 개발을 통해 ‘오산 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 84·94·101㎡, 총 1424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특히 반도체 중심의 자족형 커넥트 시티로 개발이 추진되는 세교3지구(계획)와 세교2지구의 사이에 위치해 미래가치가 기대되며, 바로 옆에 자리한 서동저수지가 수변공원 특화 개발을 앞두고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도 누릴 수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