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취준생 10명 중 4명은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고, 연간 450여 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대표이사 윤현준) 콘텐츠LAB이 대학교를 졸업한 취업준비생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은 청년이 전체 42.9%로 조사됐다. 지난 2021년 동일한 조사 당시 31.6%보다 약 10% 넘게 늘어났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취업사교육 경험이 있는 청년들은 월 평균 38만원, 연간 약 455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밝혀졌다"라며 "4년 전 연간 약 218만원이었던 것에 대비해 109% 증가한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코로나19 시기 이후 채용 환경의 여러 변화가 있었고 물가 상승까지 이어지며 취업준비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사교육에서 가장 많은 비중(*복수응답)을 차지한 것은 '전공 자격증 취득(64.9%)'이었다. 좁아진 취업 관문 속에서 자격증을 통해 전문 역량을 증명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 자격증 외에는 토익·오픽과 같은 '영어 점수와 응시료'(56.7%)가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고, ▲비전공분야 자격증(37%) ▲IT·컴퓨터 활용 전문지식 습득(32.7%) ▲자기소개·면접 첨삭 등 취업컨설팅(17.8%)이 뒤를 이었다.
높아진 취업준비 비용에 대한 청년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이번 설문 참여자의 10명 중 7명 이상(71.1%)은 취업준비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고, 졸업 이후 구직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취준생은 73.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정부에서는 비용 부담을 덜어줄 ▲취업 지원 서비스 ▲취업 인센티브 ▲자격증 응시료 지원 ▲면접 수당 등 다양한 사업을 마련해 청년들의 빠른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잡코리아(대표이사 윤현준) 콘텐츠LAB이 대학교를 졸업한 취업준비생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은 청년이 전체 42.9%로 조사됐다. 지난 2021년 동일한 조사 당시 31.6%보다 약 10% 넘게 늘어났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취업사교육 경험이 있는 청년들은 월 평균 38만원, 연간 약 455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밝혀졌다"라며 "4년 전 연간 약 218만원이었던 것에 대비해 109% 증가한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코로나19 시기 이후 채용 환경의 여러 변화가 있었고 물가 상승까지 이어지며 취업준비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사교육에서 가장 많은 비중(*복수응답)을 차지한 것은 '전공 자격증 취득(64.9%)'이었다. 좁아진 취업 관문 속에서 자격증을 통해 전문 역량을 증명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 자격증 외에는 토익·오픽과 같은 '영어 점수와 응시료'(56.7%)가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고, ▲비전공분야 자격증(37%) ▲IT·컴퓨터 활용 전문지식 습득(32.7%) ▲자기소개·면접 첨삭 등 취업컨설팅(17.8%)이 뒤를 이었다.
높아진 취업준비 비용에 대한 청년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이번 설문 참여자의 10명 중 7명 이상(71.1%)은 취업준비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고, 졸업 이후 구직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취준생은 73.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정부에서는 비용 부담을 덜어줄 ▲취업 지원 서비스 ▲취업 인센티브 ▲자격증 응시료 지원 ▲면접 수당 등 다양한 사업을 마련해 청년들의 빠른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