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이사 서미영)는 올 하반기 국내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신입 채용계획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는 7월 11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 진행했으며, 국내 공기업·공공기관 103곳 대상이다.
그 결과, 올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10곳 중 6곳 이상(65.0%)이 신입 채용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3곳(28.2%) 정도는 일정과 규모 등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하반기 동일조사 결과 (‘채용 계획 있다’ 82.0%) 뿐만 아니라 올 상반기 결과 (‘채용했다’ 68.9%)와 비교해도 떨어진 수치이다. 다시 말해 올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신입 채용문은 더 좁아졌다고 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신입 채용계획을 확정을 지었거나 일정, 규모 등 세부 조율 중이라고 밝힌 공기업·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어떤 방식으로 채용할 것인지를 물어봤다. (복수응답) ▲정기공채(77.6%) 방식이 가장 많았으며, ▲체험형 인턴(31.3%)이 그다음으로 많았다.
더불어, 작년 대비 채용규모에 변화가 생겼는지 물어본 결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85.0%로 가장 많았으며,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힌 곳은 9%에 불과했다. ‘더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은 6.0%였다.
채용규모는 큰 변동이 없으나 채용계획은 하락했기 때문에 올해 총 채용인원은 작년 대비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신입 구직자 40%, 사업 방향, 가치관 일치하면 '중소기업도 OK'
진학사 캐치 조사 결과, 신입 구직자의 40%는 사업 방향과 가치관이 일치한다면 중소기업에도 지원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신입 구직자 1,435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지원 예정 기업’에 관해 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기업’이 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중견기업’이 42%, ‘공기업/공공기관’이 27% 순이었다.
추가로, 하반기에 중소기업 지원 의향이 있는지도 물어봤는데 40% 비중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사업 방향, 가치관 등이 일치하는 희망 기업이 있어서’가 32%였고, ‘다양한 업무 경험을 쌓을 수 있어서’가 22%, ‘빨리 취업하고 싶어서’가 20%로 뒤를 이었다.
반면, 중소기업에 지원할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연봉이 낮아서(42%)’를 가장 많이 꼽았고, ‘복지가 적어서’가 13%, ‘기업의 미래가 불확실해서’가 11%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커리어 쌓기 어려울 것 같아서’,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서’ 등의 이유도 있었다.
한편, 해당 조사에서 신입 구직자를 대상으로 희망하는 신입 초봉 수준에 대해서도 물어봤다. 그 결과, ‘3천 이상 4천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가 31%로 가장 많았고, ‘4천 이상 5천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도 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캐치의 김정현 부장은 “신입 구직자들의 대기업 선호는 여전하지만, 사업방향과 가치관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중소기업에도 지원할 의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하반기에 기업 규모를 불문하고 기업과 구직자 간 정확한 매칭이 이뤄질 수 있도록 캐치도 콘텐츠와 AI 기술 등을 통해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최종 참가자 20명 눈길
하이브와 게펜 레코드의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첫 방송(한국시간 9월 2일)이 다가오면서 최종 오디션에 선발된 20명의 면면이 주목받고 있다.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의 참가자들은 다양한 지역적,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다. 국적별로는 미국 6명, 일본 3명, 한국 2명, 벨라루스,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슬로바키아,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 호주 출신 참가자가 각 1명씩 살아 남았다. 모두 12개 국가의 참가자들이 최종 데뷔조에 포함되기 위해 12주간 경쟁하게 된다.
이들 중에는 이미 여러 미디어에 노출돼 오디션 시작 전부터 화제를 끄는 참가자도 있다. 우선 ‘인플루언서 라인’이 있다. 참가자들 중 브루클린(미국), 일리야(벨라루스), 마농(스위스)은 인스타그램과 틱톡에서 수십만~수백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소셜 미디어 유명 인사들이다. ‘서바이벌 유경험자들’도 있다. 다니엘라(미국), 마키(태국), 나영(한국)은 과거 서바이벌 오디션에 출연해 재능을 인정받은 실력파들이다. 특히, 나영의 경우 참가 사실이 알려진 후, 과거 출연한 오디션 프로그램 영상이 커뮤니티에 올라올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공개된 아트필름과 공식 트레일러에서 보컬, 댄스 등 뛰어난 역량을 보여줬는데, 에밀리(미국), 우아(일본), 아델라(슬로바키아)는 독보적인 춤 실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들은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아트 필름에서도 댄스 신을 꿰찼다. 에밀리와 우아는 독무로, 아델라는 발레 신의 메인 퍼포머로 활약해 화제를 모았다. 사마라(브라질), 소피아(필리핀), 메간(미국)은 매력적인 음색이 돋보인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들은 아트 필름에서 보컬 장면을 맡으면서 향후 활약을 예고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그 결과, 올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10곳 중 6곳 이상(65.0%)이 신입 채용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3곳(28.2%) 정도는 일정과 규모 등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하반기 동일조사 결과 (‘채용 계획 있다’ 82.0%) 뿐만 아니라 올 상반기 결과 (‘채용했다’ 68.9%)와 비교해도 떨어진 수치이다. 다시 말해 올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신입 채용문은 더 좁아졌다고 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신입 채용계획을 확정을 지었거나 일정, 규모 등 세부 조율 중이라고 밝힌 공기업·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어떤 방식으로 채용할 것인지를 물어봤다. (복수응답) ▲정기공채(77.6%) 방식이 가장 많았으며, ▲체험형 인턴(31.3%)이 그다음으로 많았다.
더불어, 작년 대비 채용규모에 변화가 생겼는지 물어본 결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85.0%로 가장 많았으며,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힌 곳은 9%에 불과했다. ‘더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은 6.0%였다.
채용규모는 큰 변동이 없으나 채용계획은 하락했기 때문에 올해 총 채용인원은 작년 대비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신입 구직자 40%, 사업 방향, 가치관 일치하면 '중소기업도 OK'
진학사 캐치 조사 결과, 신입 구직자의 40%는 사업 방향과 가치관이 일치한다면 중소기업에도 지원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신입 구직자 1,435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지원 예정 기업’에 관해 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기업’이 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중견기업’이 42%, ‘공기업/공공기관’이 27% 순이었다.
추가로, 하반기에 중소기업 지원 의향이 있는지도 물어봤는데 40% 비중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사업 방향, 가치관 등이 일치하는 희망 기업이 있어서’가 32%였고, ‘다양한 업무 경험을 쌓을 수 있어서’가 22%, ‘빨리 취업하고 싶어서’가 20%로 뒤를 이었다.
반면, 중소기업에 지원할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연봉이 낮아서(42%)’를 가장 많이 꼽았고, ‘복지가 적어서’가 13%, ‘기업의 미래가 불확실해서’가 11%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커리어 쌓기 어려울 것 같아서’,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서’ 등의 이유도 있었다.
한편, 해당 조사에서 신입 구직자를 대상으로 희망하는 신입 초봉 수준에 대해서도 물어봤다. 그 결과, ‘3천 이상 4천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가 31%로 가장 많았고, ‘4천 이상 5천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도 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캐치의 김정현 부장은 “신입 구직자들의 대기업 선호는 여전하지만, 사업방향과 가치관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중소기업에도 지원할 의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하반기에 기업 규모를 불문하고 기업과 구직자 간 정확한 매칭이 이뤄질 수 있도록 캐치도 콘텐츠와 AI 기술 등을 통해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최종 참가자 20명 눈길
하이브와 게펜 레코드의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첫 방송(한국시간 9월 2일)이 다가오면서 최종 오디션에 선발된 20명의 면면이 주목받고 있다.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의 참가자들은 다양한 지역적,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다. 국적별로는 미국 6명, 일본 3명, 한국 2명, 벨라루스,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슬로바키아,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 호주 출신 참가자가 각 1명씩 살아 남았다. 모두 12개 국가의 참가자들이 최종 데뷔조에 포함되기 위해 12주간 경쟁하게 된다.
이들 중에는 이미 여러 미디어에 노출돼 오디션 시작 전부터 화제를 끄는 참가자도 있다. 우선 ‘인플루언서 라인’이 있다. 참가자들 중 브루클린(미국), 일리야(벨라루스), 마농(스위스)은 인스타그램과 틱톡에서 수십만~수백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소셜 미디어 유명 인사들이다. ‘서바이벌 유경험자들’도 있다. 다니엘라(미국), 마키(태국), 나영(한국)은 과거 서바이벌 오디션에 출연해 재능을 인정받은 실력파들이다. 특히, 나영의 경우 참가 사실이 알려진 후, 과거 출연한 오디션 프로그램 영상이 커뮤니티에 올라올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공개된 아트필름과 공식 트레일러에서 보컬, 댄스 등 뛰어난 역량을 보여줬는데, 에밀리(미국), 우아(일본), 아델라(슬로바키아)는 독보적인 춤 실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들은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 아트 필름에서도 댄스 신을 꿰찼다. 에밀리와 우아는 독무로, 아델라는 발레 신의 메인 퍼포머로 활약해 화제를 모았다. 사마라(브라질), 소피아(필리핀), 메간(미국)은 매력적인 음색이 돋보인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들은 아트 필름에서 보컬 장면을 맡으면서 향후 활약을 예고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