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인천시는 18일 열린 2026년도 주요업무보고회에서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정 운영 철학을 공개했다. 이번 업무보고회는 단순히 부서별 계획을 나열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시민·기업·소상공인이 직접 의견을 제시하는 열린 플랫폼으로 운영된 것이 특징이다.
시는 총 6차례의 분야별 보고회를 순차적으로 열 예정이며, 첫 회의인 이날 경제 분야 자리에는 기업인, 소상공인, 청년창업 관계자 등이 참석해 지역경제 현안을 놓고 활발히 의견을 주고받았다. 인천시는 회의에서 나온 의견을 즉시 분류·정리하고, 후속 자체 회의를 통해 반영 가능한 사항부터 신속히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변화의 의미를 “‘보고하는 회의’에서 ‘현장 해결형 회의’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라고 규정하며, 지역 경제의 특성상 정책 추진 속도가 중요한 만큼 현장 의견의 실시간 반영 체계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유정복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이 자리는 형식적 보고의 자리가 아니라 진짜 현장과 연결된 회의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하나도 허투루 두지 않겠습니다. 즉시 자체 회의를 열어 가능한 부분부터 신속하게 조치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가 살아야 지역이 발전하고 시민의 삶이 나아집니다. 인천에서는 기업과 시민 모두에게 힘이 되는 실질적 경제정책과 더 나은 삶을 위한 튼튼한 경제·인프라를 만들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참여형 업무보고회’를 인천시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현장 중심 행정의 확장으로 평가한다. 특히 인천이 글로벌 제조·물류도시에서 나아가 기술·서비스 중심의 미래형 경제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또한 인천 산업 구조의 특성상 규제 개선과 기업 애로 해소가 민간 혁신과 직결되는 만큼, 현장 의견을 정책에 바로 반영하는 방식은 경제 성과의 속도와 실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제2경제도시 도약’을 시정의 핵심 목표로 제시하며, 시민 참여 확대와 현장 중심 정책을 추진 기반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유 시장이 강조해온 ‘현장이 답’이라는 메시지가 단순한 슬로건을 넘어 시정 운영 시스템의 실질적 변화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앞으로 인천시가 시민·기업과의 소통 구조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도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정책의 체감도를 얼마나 높여갈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시민과 함께 만드는 경제도시, 인천의 새로운 실험이 막을 올렸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