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부산경찰청-부산도시공사, AI스마트 안심원룸 조성

침입·스토킹 범죄 예방 기대…공공·치안 협력의 전국 최초 새로운 협력 모델 제시

2025-11-20 10:28:30

AI비상벨 설치와 비상벨 안내판.(사진제공=부산경찰청)이미지 확대보기
AI비상벨 설치와 비상벨 안내판.(사진제공=부산경찰청)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경찰청(청장 엄성규)과 부산도시공사(사장 신창호)은 청년층의 안전한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공공협력 방안으로 청년임대주택에 AI 기반 비명인식 비상벨 설치 등 스마트 안심원룸 조성 시범사업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침입·스토킹 등 범죄 불안감 해소를 위해 부산경찰청에서 제안, 자치경찰 사업으로 추진한 스마트 안심 원룸 조성 사업은,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안전 개선 등 범죄예방 안전망을 확대하기 위한 공공협력 방안이다.

-부산도시공사 매입 청년임대주택(원룸) 2개소(총 49세대, 수영구 소재)에 비명 인식 AI비상벨 총 4대 설치, 외벽 침입감지장치 총 10대를 설치했다. 부산자치경찰 예산 1,000만 원이 들었다.

이번 협업은 청년의 안전한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대표적인 공공협력 사례로 평가되며, 특히 청년 1인 가구 주거 안전 확보를 위해 AI 기술이 적용된 것은 전국 최초 사례이다.

AI 비상벨은 직접 누르지 않아도 비명 등 위험 음성을 자동 감지하여 경찰출동 멘트와 함께 즉시 112로 연결되어, 위급 상황 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지능형 안전장치이다. 여성 등 1인가구 거주지에서 위기 상황 시 직접 비상벨 버튼을 누르기 어렵다는 문제를 보완하고, 1인가구의 침입·스토킹 등 범죄를 예방을 할 수 있는 한 단계 발전된 안전 인프라로 평가된다.

엄성규 부산경찰청장은 “청년 1인 가구는 위급상황 발생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경우가 많다”며 “AI 기반 치안기술과 112 대응체계가 결합된 안전망을 통해 범죄예방 중심의 치안 환경을 확대 조성하여 청년뿐만 아니라 부산시민 모두가 더욱 안심할 수 있는 정주 환경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