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첨단화·다양화되며 소비자 피해 규모도 빠르게 커지는 모양새다.
금융위원회·경찰청 등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는 지난해 2.1만건으로 직전년 (1.9만건) 대비 10% 늘었고, 피해금액은 4472억원에서 8545억원으로 2배 가까이 커졌다. 게다가 올 9월엔 9867억원까지 늘어 연말엔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AI·딥페이크 기술 등을 악용해 소비자 심리를 지배하고 가상계좌·간편송금 등을 통해 자금추적을 회피하는 등 범죄 수법은 진화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 거점을 둔 조직이 특정 대상을 목표로 많은 자금을 편취한 뒤 도주하는 경우도 있어 수사 당국 및 금융·통신 업권 간 신속한 정보공유·공동 대응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알려져 있다시피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금융 당국에서 AI 기반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플랫폼 ASAP(에이샙)을 출범했지만, 플랫폼 상에 금융사·통신사·수사기관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어 (19개) 은행권 중심의 반쪽짜리 운영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김상훈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금융사·통신사·수사기관 등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의심정보를 AI 플랫폼에 공유할 수 있는 특례 조항을 신설하여 참여기관 간 빠른 정보교류로 공동 대응을 가능케 하고, AI 기술 패턴 분석 등을 통해 범죄 가능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핵심 골자다.
김상훈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죄는 빠르게 고도화·대형화되는 반면 정부당국 및 금융·통신사들의 대응은 분절화 돼 있어 첨단기술 적용도 더딘 상황”이라며 “보이스피싱 피해가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신속한 법 개정 및 시스템을 구축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