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평가는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은행권의 AML 위험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정교하게 진행되었다. 플라이빗은 고객확인, 고객 위험평가, 거래 모니터링 및 보고 체계, AML 시스템, 내부통제 구조 등 핵심 항목 전반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우수한 평가 결과를 받았다.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규제 환경이 엄격해지는 상황에서, 이번 위험평가 최상위권 등급 획득은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자금세탁방지 체계는 향후 가상자산거래소의 운영 지속에 필수적인 핵심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김석진 플라이빗 대표는 "이번 위험평가 결과는 플라이빗이 추구해 온 투명성 중심의 운영 원칙과 선제적인 AML 투자 노력이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AML·CFT(테러자금조달방지) 전 영역에서 완벽한 관리 및 통제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플라이빗은 최근 내부통제 체계를 고도화하며 전사적 AML 위험평가(FARA)는 물론, 내부 점검과 사후 조치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관리체계를 도입했다. 이러한 통제 체계는 KB국민은행 출신 준법감시인 설기환 상무와 한국씨티은행 출신 박진언 이사를 중심으로 체계화되었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은행과 국내 대형 시중은행의 전문성이 플라이빗의 자금세탁방지 내부통제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플라이빗 관계자는 "투명성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기관 및 법인 고객까지 수용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며 "국내 규제를 넘어서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내부통제 체계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