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0월 31일 홈플러스의 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을 위한 공개입찰이 사실상 무산 수순을 밟고 있다. 이날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 접수를 마감하지만 현재까지 단 한 명의 원매자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오는 11월 10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하지만, 원매자 부재로 인해 계획안 연기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MBK는 앞서 회생계획안 제출을 네 차례나 연기해 왔다. 회생계획안 제출이 이뤄지지 않으면 홈플러스는 청산 절차에 들어간다.
노동자들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사기업의 경영 실패가 아니다. 정부가 사모펀드 제도를 도입·묵인한 결과 MBK가 무책임한 경영을 일삼을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홈플러스가 청산되면 수십만 명의 노동자와 입점 자영업자는 물론, 농·축·어민 등 국내 먹거리 유통 구조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즉각 개입해 청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MBK는 지난 3월 4일 홈플러스의 연중 최대 매출 기간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며 청산을 의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후 8개월간 홈플러스의 매출은 급감해 최근에는 전년 대비 2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 여파로 최근에는 전기요금이 미납되고, 직원들의 보험료와 퇴직금까지 체불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관계자들은 조만간 급여 미지급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 살리기 공동대책위원회는 “MBK가 회생계획안 연기를 일부러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11월 8일 전국 집중 집회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고 정부의 직접 개입을 촉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성명]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제출 2곳, 아무 의미 없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정부가 나서야 한다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일인 10월 31일 15시, 두 곳이 인수의향서를 냈다는 보도가 나왔다.
아무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을 깨는 보도였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다.
연 매출 5억 원, 영업이익률 -1000%의 회사가 홈플러스 인수전에 뛰어들고, 또 한 곳은 부동산 개발업자다.
이들이 이름이나 알려보자고 뛰어들었는지 알수는 없지만, 홈플러스를 인수할 능력도 없고 경영할 의지도 없는 자들임은 너무나 분명하다.
혹여 MBK의 ‘먹튀 시나리오’를 뒷받침하기 위해 동원된 자들은 아닌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결국, 인수의향자가 나왔다고 해서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
정부의 개입이 없이는, 유통업계 2위인 홈플러스는 결국 청산의 길로 갈 수밖에 없다.
홈플러스의 파산은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2만 명의 직접고용 노동자, 납품업체와 입점업주 등 10만 명의 생계가 한순간에 무너질 것이다.
국산 농산물 유통망의 20%가 마비되고, 전국 지역상권이 연쇄적으로 붕괴될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금까지 어떤 가시적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홈플러스 전기가 끊기고, 노동자 임금이 체불되고, 농산물 유통이 멈춰 일부 대형마트의 독과점으로 물가가 폭등해야 그제야 움직일 것인가.
이것은 단순한 무책임이 아니라 방조다.
이제 정부가 나서야 한다.
더 이상 MBK 경영진의 거짓말과 시간 끌기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
“민간기업의 일”이라며 뒷짐 지고 불구경하듯 바라보는 태도는 직무유기와 다르지 않다.
정부는 즉각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적 개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공공적 유통 주체가 인수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적·재정적 조치에 착수하고,
노동자의 고용, 납품·입점업체, 지역상권, 농민의 생존권을 지켜낼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는 경고한다.
정부가 이 사태를 방치한다면 홈플러스의 청산은 곧 국민의 일자리 청산이자 지역경제의 파국으로 이어질 것이다.
홈플러스공대위는 노동자·농민·소비자·시민사회와 함께 끝까지 싸울 것이다.
지금이 홈플러스 회생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2025년 10월 31일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