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어기구 “신품종개발비 5년간 1267억…종자 국산화율 고작 35.2%”

2025-10-22 12:39:22

어기구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어기구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민주당 어기구 (충남 당진시) 국회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종자 국산화율은 기껏해야 35.2%로 여전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정부는 지난 5년간 1267억 원의 신품종 개발 연구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주요 품목의 국산 종자 보급이 기대 수준에 다다르지 못하며 같은 기간 해외로 지급된 종자 로열티는 무려 436억 원에 이른다.

알다시피 2024년에만 로열티 85.9억원을 지급했다. 이는 전년 80.3억원 대비 7.0% 늘어난 셈이다. 로열티를 지급한 품목은 딸기·버섯·장미 등 10개 품목인데 이들 품목의 평균 종자 국산화율은 35.2%로 전년 대비 0.8%p 떨어졌다.

화훼 분야의 국산화율은 전체 품목 가운데 가장 낮았다. 카네이션의 경우 2022년 2.7%였던 국산화율이 지난해엔 국산 품종이 한 송이도 재배되지 않았다. 장미 23.8%, 난 15.2% 등도 직전 년도 대비 7.4%p, 5.3%p 각각 줄어들었다.

이런 결과는 수입 종묘 의존도가 심화되고, 콜롬비아 등 주요 화훼 수출국과의 FTA 체결 후 국내 종묘업체의 시장 경쟁력이 크게 약화된 영향으로 보인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장인 어기구 의원은 “종자 주권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종자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국산 품종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와 연구개발의 내실화가 절실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