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문금주 “폭염 피해 벼 깨씨무늬병 급증…전남 전국의 36% 차지”

문 의원 “벼·쪽파 병해 농업재해로 인정…재해보험 상시가입 제도화해야”

2025-10-13 23:47:09

문금주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문금주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로이슈 이상욱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13일 발표한 올해 쌀 수확기 수급 안정 대책에 폭염 등 이상 기온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은 ‘깨씨무늬병 벼’ 전량 매입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회 농해수위 문금주 (고흥·보성·장흥·강진) 국회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해 온 내용이 반영된 결과란 의견이 많았다.

최근 쪽파 병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벼·쪽파 병해에 대한 농업재해 인정과 쪽파 농업재해보험 가입기간 확대 등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알다시피 올 여름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졌다. 특히 전남은 전국 평균보다 4.2일(15.2%) 더 긴 폭염일수(31.8일)를 나타냈다.

벼 생육기(7~9월) 동안 전남의 최고기온은 평년 대비 최대 3.5℃ 높게 나타나, 전 구간에서 30℃를 넘어섰다. 그래서 벼의 생육과 알이 여문 과정인 등숙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깨씨무늬병은 30℃ 이상의 고온과 습도 85% 이상의 다습 환경에서 급속히 확산된다. 감염 시 수확량이 최대 37% 줄고, 벼의 알이 갈변해 품질 저하가 생긴다.

문금주 (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실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0월 1일 기준 전남지역 깨씨무늬병 발병면적은 1만3337ha로 전국 총 발병면적 3만6320ha 중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3.7배, 평년 대비 2.1배 증가한 수치다.

기후변화로 인한 쪽파 농가 피해도 심상치 않다. 전남 보성 지역의 (재배면적 120ha) 150개 농가에선 노균병·잿빛곰팡이병·잎끝마름병 등 병해가 퍼지고 있다.

한편 올해 9월 보성의 강우 일수는 18일로 전년 8일 보다 2배 넘게 많았고, 평균기온은 23℃로 쪽파 생육 적정온도인 20℃ 이하를 초과했다. 충남 아산·경북 예천 등 전국 주요 재배지에서도 유사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금주 의원은 “깨씨무늬병 피해 벼 전량 매입 방안이 포함된 것은 환영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농가(農家)가 떠안게 해선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문 의원은 “벼 깨씨무늬병과 쪽파 병해를 농업재해로 공식 인정해 쪽파의 연중 상시 재해보험 가입이 가능토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