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우 수석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 "제가 대통령의 생각을 (여당에) 전달하면 당이 곤혹스러워할 때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 대통령이 정무수석에게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게 무엇이냐는 사회자의 물음에도 "'당이 왜 저런 결정을 내렸나'. 대통령이 당에 간섭하지 않다 보니 (당 결정의) 배경을 알고 싶어한다"고 전했다.
최근 검찰개혁 입법 등 각종 개혁작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여당의 입장을 조율하는 작업이 쉽지만은 않았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특히 "앞으로 여당과 대통령실이 협력해 개혁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우 수석은 "개혁하지 않을 수는 없다"면서도 "중도진영, 합리적 보수진영에 계신 분들 가운데서는 '개혁하는 것은 좋은데, 싸우듯이 하는 것은 불편하고 피곤하다'며 피로를 얘기하는 분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국민의 사랑을 받고,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접근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지금 민심은) '여권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런데 세상이 조금 시끄럽다'는 게 총평으로 보인다. 시끄럽지 않게 개혁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논란이 됐던 검찰의 보완수사권 폐지 문제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수사와 기소 분리가 이뤄졌으니 앞으로는 국민 입장에서 물 흐르듯, 탈이 나지 않게 시스템 개혁이 흘러가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우 수석은 최근 민주당이 '대선개입 의혹' 청문회에 조희대 대법원장의 출석을 요구한 데 이어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 일반 증인으로 조 대법관과 지귀연 부장판사를 증인으로 채택하는 등의 흐름이 이어지는 것에는 "사법부의 행위에 대해 진상을 파헤쳐야 한다"면서도 "방법은 지혜로웠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우 수석은 "조 대법관은 대선 직전 유력한 야당 후보를 선거에 나가지 못하게 하려고 했다. 자료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채 사법적 단죄를 (하려 했다)"며 "대체 왜 그랬던 것인지, 배후는 없었는지에 대한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 부장판사에 대해서도 "내란 수뢰를 왜 풀어줬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어찌 됐든 마치 복수를 하고 보복을 하는 것처럼 보여지는 것은 올바른 방식이 아니다"라며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