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영 의원실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적발된 신종마약은 총 509 건, 중량 186kg, 시가 118 억 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적발 건수 (515 건)와 맞먹는 수준이며, 중량과 금액 면에서는 각각 지난해의 167kg, 112 억 원을 이미 초과했다. 신종마약은 2020년에는 333 건, 12 억 원 어치가 적발됐지만, 5 년 동안 10 배 가까이 폭증했다.
신종마약은 전통적인 마약류인 대마, 필로폰 등과 달리 합성대마 , 펜타닐 패치, 신종 환각제 (NPS·New Psychoactive Substances) 등 새로운 형태로 변종·확산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 유입된 신종마약이 인터넷, 다크웹, SNS 메신저 등을 통해 청소년·청년층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점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뿐만 아니라 신종 환각 놀이 (OD, OverDose)’ 에 직접 노출되고 있는 사례까지 드러났다.
이미지 확대보기지난 9 월 부산본부세관은 해외에서 국제우편을 통해 코데인·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 감기약 4,000 여 정을 밀반입한 10 대·20대 3 명을 적발했다. 이들은 ‘OD 중독 체크리스트 ’ 를 공유하며 채팅방에서 복용 방법과 밀수 수법을 은밀히 주고받았고, 일부는 한 번에 100 정까지 복용하는 등 심각한 중독 증세를 보였다. 더 나아가 분말화 한 의약품을 흡입하거나 술과 함께 과다 복용하는 ‘환각 파티’ 까지 벌인 사실이 확인됐다.
박수영 의원은 “신종마약은 마치 트렌드처럼 사회 전반에 퍼져나가고 있어,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 며 “ 대마·필로폰 등 기존 마약류에 대한 단속 못지않게 신종마약에 대해서도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 ” 고 강조했다 .
아울러 “젊은 세대가 신종마약 확산의 1 차적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만큼, 수사기관의 집중 단속과 교육·홍보 강화가 시급하다” 면서 “ 정부는 수사기관·관세청·보건당국과 협업 체계를 구축해 해외 밀반입 단계부터 시중 유통 차단까지 전방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