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이사 오경석)는 2030 청년 대상 디지털 자산 교육 프로그램 ‘업클래스(UP Class)’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일 밝혔다.
업비트 관계자는 "‘업클래스(UP Class)’는 두나무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일환으로 국민 디지털 자산 이해를 높이고자 론칭한 세대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다"라며 "지난 상반기 금융감독원과 함께 50대 이상 장노년 대상 ‘도전! 금융 골든벨’로 처음 선보였으며, 하반기에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 뿐만 아니라 AI(인공지능), 블록체인까지 커리큘럼을 확대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9월 한 달간 총 7회에 걸쳐 열린 2030 대상 업클래스에는 약 1500명의 청년들이 참여했다"라며 "‘UDC 2025’를 시작으로 포스텍(POSTECH)·카이스트(KAIST)·조선대·부경대·강원대 등 전국 5개 주요 대학을 순회한 후 서울 SJ 쿤스트할레에서 여정을 마무리했다"라고 말했다.
2030 업클래스에는 경제 전문기자이자 유튜브 채널 ‘알고란’의 고란 대표,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의 저자이자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 이은정 두나무 과장이 연사로 함께했다.
고란 대표는 '비트코인으로 바라본 디지털 자산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강연을 통해 금, 달러에서부터 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조망하고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퍼스널 투자 성향 테스트: UP-BTI’ 세션을 맡은 이은정 과장은 개개인의 투자 성향과 업비트의 다양한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강연을 진행, 업클래스에 특별한 재미를 더했다. 이어 '청년들이 바라봐야 할 블록체인과 AI의 미래’를 주제로 연단에 선 장동선 박사는 AI와 블록체인이 이끌 대전환에 맞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시하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카이스트와 쿤스트할레에서 개최된 2030 업클래스 현장에서는 두나무가 출시한 자체 블록체인 ‘기와(GIWA, Global Infrastructure for Web3 Access)’를 주제로 한 퀴즈 이벤트가 열려 참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업비트 관계자는 "‘업클래스(UP Class)’는 두나무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일환으로 국민 디지털 자산 이해를 높이고자 론칭한 세대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다"라며 "지난 상반기 금융감독원과 함께 50대 이상 장노년 대상 ‘도전! 금융 골든벨’로 처음 선보였으며, 하반기에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 뿐만 아니라 AI(인공지능), 블록체인까지 커리큘럼을 확대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9월 한 달간 총 7회에 걸쳐 열린 2030 대상 업클래스에는 약 1500명의 청년들이 참여했다"라며 "‘UDC 2025’를 시작으로 포스텍(POSTECH)·카이스트(KAIST)·조선대·부경대·강원대 등 전국 5개 주요 대학을 순회한 후 서울 SJ 쿤스트할레에서 여정을 마무리했다"라고 말했다.
2030 업클래스에는 경제 전문기자이자 유튜브 채널 ‘알고란’의 고란 대표,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의 저자이자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 이은정 두나무 과장이 연사로 함께했다.
고란 대표는 '비트코인으로 바라본 디지털 자산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강연을 통해 금, 달러에서부터 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조망하고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퍼스널 투자 성향 테스트: UP-BTI’ 세션을 맡은 이은정 과장은 개개인의 투자 성향과 업비트의 다양한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강연을 진행, 업클래스에 특별한 재미를 더했다. 이어 '청년들이 바라봐야 할 블록체인과 AI의 미래’를 주제로 연단에 선 장동선 박사는 AI와 블록체인이 이끌 대전환에 맞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시하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카이스트와 쿤스트할레에서 개최된 2030 업클래스 현장에서는 두나무가 출시한 자체 블록체인 ‘기와(GIWA, Global Infrastructure for Web3 Access)’를 주제로 한 퀴즈 이벤트가 열려 참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