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톱 주변은 살갗이 일어나는 거스러미가 생기기 쉬운 부위다. 까슬까슬한 손톱 거스러미는 보기에도 거슬릴 뿐 아니라, 활동할 때도 신경 쓰이고 불편해 손이나 이로 뜯어 제거하는 사람이 많다. 결과적으로 거스러미가 생긴 부위보다 넓고 깊게 살이 뜯겨 ‘조갑주위염’으로 번질 수 있다.
조갑주위염이란 거스러미를 뜯어낸 후 상처가 생긴 피부를 통해 세균 등의 병원균이 침투해 손톱이나 발톱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조갑주위염이 발생하면 손발톱 주변이 벌겋게 부어오를 뿐 아니라, 열감이 느껴지며 심한 경우 통증과 누런 고름이 찬 농양이 동반된다.
이대목동병원 피부과 변지연 교수는 “거스러미는 피부가 건조해지는 가을·겨울철이나 물을 자주 만지는 경우 발생하기 쉬운데, 약해져 있는 피부장벽이나 거스러미,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침투할 때 조갑주위염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조갑주위염을 예방하려면 손톱과 그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변 교수는 “손톱 주변 거스러미가 생기더라도 절대 손이나 이로 뜯어내지 말고, 소독한 작은 가위나 손톱깎이로 튀어나온 부분을 정리하고 보습에 신경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날씨가 건조해지는 가을·겨울철은 핸드크림, 바세린 등을 발라 손톱과 그 주변이 건조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네일아트는 네일 리무버가 손의 유분과 수분을 앗아가 손톱 주변의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다.
변 교수는 “대부분 조갑주위염 환자들은 손톱 주위 작은 상처를 방치하거나 자극해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국소 항생제 도포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지만, 방치하면 깊은 세균감염증인 봉와직염까지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증상 발생 초기 의료기관에 방문해 치료받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