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흔한 것은 소화기 질환이다. 기름진 전과 고칼로리 음식, 송편 등을 과식하면 소화불량이나 위경련, 설사로 이어진다.
명절 음식은 맛있지만 위장에는 큰 부담이 된다”며 “음식을 천천히, 적당히 먹고 술도 자신의 주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심하면 단순한 소화불량이 아닌 위염이나 역류성식도염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명절 스트레스, 이른바 ‘명절 증후군’도 흔하다. 특히 명절 음식을 준비하는 주부들에게 두통, 불면, 가슴 두근거림 같은 증상이 적지 않다. 가족 간 역할을 나누고 명절 뒤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이며 스트레스가 2주 이상 지속되면 우울증이나 적응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 진료를 권한다.
귀성·귀경길 장거리 운전은 허리와 목, 어깨 건강을 해친다.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운전하면 척추에 큰 압력이 가해지고, 부엌일을 오래 하면 무릎관절에도 무리가 따른다. 운전은 한두 시간마다 쉬어주고, 음식 준비 중에도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연휴 뒤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척추·관절 질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또 하나 주의해야 할 점은 감염병과 식중독이다. 음식을 미리 조리해 보관하면 상하기 쉽고, 여러 사람이 함께 먹을 경우 집단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손을 깨끗이 씻고,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 보관하며, 의심되는 음식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
성묘나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쯔쯔가무시증 같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얇은 긴팔 옷을 입고, 벌레 기피제를 사용하며, 귀가 후에는 반드시 샤워와 옷 세탁을 하는 습관이 도움이 된다. 아울러 홍역 등 해외 유입감염병과 코로나19 역시 명절 연휴동안 특히 조심해야 한다.
특히 고혈압·당뇨 같은 만성질환자들은 연휴 동안 생활리듬이 깨지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연휴라고 약 복용을 소홀히 하면 합병증의 위험이 커진다. 약을 반드시 챙기고 혈압·혈당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도움말 좋은강안병원 가정의학과 이가영 과장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