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중부발전(사장 이영조)이 발전공기업 중 최초로 인천발전본부에 태양광 발전설비 대상 AI 기반 고장진단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AI 기반 고장진단 시스템은 전압·전류 데이터와 기상 정보를 융합 분석해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해, 잠재적 고장 징후를 조기에 탐지·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중부발전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존의 사후 대응 중심의 관리에서 선제적·예방적 관리 체계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이 시스템은 국내 AI 디지털 O&M 전문기업 제이케이코어(JKCORE)와 협력해 개발됐으며, 발전소별 기후·입지·설비 구조 차이를 반영한 국내 맞춤형 진단 기술이 적용됐다. 시범 운영 결과 ▲이상 감지 정확도 95% 이상, ▲발전량 예측 정밀도 99% 수준을 달성했으며, 인버터 내부 화재, 출력 저하, 수목 음영 등 다양한 실제 사례에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원격 진단 기능을 통해 불필요한 현장 출동이 줄어 운영비 절감 효과를 거뒀으며, 낙상·감전 등 안전사고 위험도 크게 낮췄다.
류지영 한국중부발전 인천발전본부장은 “신규 기술 도입으로 설비 이상을 조기에 발견해 발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라며, “앞으로 ESS·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전원으로 AI 기반 고장진단 기술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AI 기반 고장진단 시스템은 전압·전류 데이터와 기상 정보를 융합 분석해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해, 잠재적 고장 징후를 조기에 탐지·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중부발전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존의 사후 대응 중심의 관리에서 선제적·예방적 관리 체계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이 시스템은 국내 AI 디지털 O&M 전문기업 제이케이코어(JKCORE)와 협력해 개발됐으며, 발전소별 기후·입지·설비 구조 차이를 반영한 국내 맞춤형 진단 기술이 적용됐다. 시범 운영 결과 ▲이상 감지 정확도 95% 이상, ▲발전량 예측 정밀도 99% 수준을 달성했으며, 인버터 내부 화재, 출력 저하, 수목 음영 등 다양한 실제 사례에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원격 진단 기능을 통해 불필요한 현장 출동이 줄어 운영비 절감 효과를 거뒀으며, 낙상·감전 등 안전사고 위험도 크게 낮췄다.
류지영 한국중부발전 인천발전본부장은 “신규 기술 도입으로 설비 이상을 조기에 발견해 발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라며, “앞으로 ESS·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전원으로 AI 기반 고장진단 기술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