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년부터 현재까지 강서구 지역은 관내 총 사고사망자수의 약 68%(38명 중 26명)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기획 감독은 먼저 자율점검(7.21.~8.8.)을 하도록 하고, 자율점검 결과가 미흡하거나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사업장 20개 사를 대상으로 집중감독(8.21.~9.5.)에 나섰다.
기획 감독 결과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사업주의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한 미음산단 소재 콘크리트 제조업체 등 5개 회사의 대표(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입건해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며, 휴게시설 설치 기준을 위반, 안전보건교육 미실시 한 제조업체 등 14개 사에 대해 과태료 3천600만 원을부과(22건)했다. 주요사례를 보면 컨베이어 회전축에 끼임 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덮개를 설치하지 않은 미음산단 소재 콘크리트 제조 A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입건, 심하게 손상 및 부식된 와이어로프로 중량물을 운반해 중량물 추락에 따른 맞음 사고를 예방하지 않은 녹산산단 소재 선박부품 제조 B사 대표는 입건됐다.
부산북부고용노동지청은 이번 중대재해에 취약한 강서구 소재 제조업체에 대한 산업안전분야 집중감독을 통해 산업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자율 안전 점검을 통한 유해·위험 요인 개선을 유도해 강서지역뿐 아니라 부산 지역의 산업재해예방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민광제 부산북부지청장은 “이번 기획 감독의 조치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강서구 소재 사업주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발굴한 유해·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모든 근로자가 안전하게 퇴근할 수 있는 사업장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