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진숙 의원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내란 우두머리 피의자 윤석열의 일방적인 ‘의대정원 2천명 증원’ 발표로 지난 1년 7개월 동안 지속된 의·정 갈등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정부·환자·소비자단체·의료계 간 대화를 통한 ‘신뢰회복’으로 ‘의대생복학’과 ‘전공의복귀’로 해결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전 의원은 “전공의가 9월부터 복귀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그리고 필수과목과 인기과목 간 양극화 심화 조짐이 보인다”며 “서울 빅5 병원 충원율은 70%를 넘는데 비수도권은 5~60% 수준에 불과했고 특히 필수 의료분야의 경우 ‘복귀’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수준인 곳도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수도권 병원에서도 응급의학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의 지원율이 전체 평균보다 낮아 의료공백이 지속될 염려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복지부가 공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모집률이 수도권 수련병원은 63%·비수도권은 53.5%·필수의료과목은 70.1% 그 외 인기과목은 88.4%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알다시피 필수과목은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등이다.
전진숙 의원은 “하반기 전공의 모집결과 지역 간 필수의료분야와 인기과목 간 양극화가 심해졌고 농어촌 등 의료취약 지역에서 공공의료의 최전선을 지키는 (공중보건의) 충원율이 23%에 불과해 지역의료 위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이 책임은 바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일방적인 ‘의대정원 2천명 증원’에 비롯된다”고 밝혔다.
이어 전 의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하여 지역의사제 도입·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로 지역·필수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하고 공보의 복무기간 단축 등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