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 말산업연구소는 오는 9월 4일 오후 3시 서울기수협회 대강당에서 '2025 말산업 R&D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말산업 종사자들의 전문성과 디지털 전환 역량을 제고하고 기술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된다. AI, IoT,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경주마 훈련 혁신을 주제로, 국내외 말산업 및 첨단기술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최신 동향과 적용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해외 연사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쟈키클럽(Jockey Club of Saudi Arabia)의 수의 서비스 총괄인 토비 쾨니히(Dr. Toby Koenig)가 참석해 스웨덴 기업 Sleip의 솔루션 활용 경험을 발표한다. Sleip은 AI 기반 영상 분석을 통해 말의 보행과 움직임을 평가해 부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을 개발한 기업으로, 쾨니히 박사는 이 기술을 사우디 경마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했는지 실제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Sleip의 마케팅 총괄 퍼 하스브링(Per Hassbring)도 참여해 제품과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또한, 프랑스의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Arioneo도 발표에 참여한다. Arioneo는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말의 심박수, 속도,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훈련 강도와 건강 상태를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공동창업자이자 경영 총괄자인 발랑탱 라팡(Valentin Rapin)과 연구개발 총괄자인 기욤 뒤부아(Guillaume Dubois)가 참여해 기술적 발전과 실제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국내에서는 서울조교사협회 전 팀장 김성민이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와 2년간 공동 연구한 스마트 기술 조교 현장 적용 결과를 발표하며, AI 기반 반려동물 헬스케어 기업 에이아이포펫(AI For Pet)의 허은아 대표이사가 동물 의료·생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경주마 산업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내외 조교사, 마필관리사, 스타트업 관계자, 말산업 관계자 등 약 100여 명이 현장에 참석할 예정이다.
사전 녹화 방식으로 제작된 발표 영상에는 한국어 자막이 제공되고 마지막에는 연사들이 직접 참여하는 실시간 질의응답 세션도 통역과 함께 마련된다.
한국마사회 정기환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경마산업이 첨단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는 미래를 준비하는 자리”라며, “특히 경주마의 보건과 훈련을 직접 담당하는 조교사와 마필관리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영감을 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이번 심포지엄은 말산업 종사자들의 전문성과 디지털 전환 역량을 제고하고 기술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된다. AI, IoT,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경주마 훈련 혁신을 주제로, 국내외 말산업 및 첨단기술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최신 동향과 적용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해외 연사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쟈키클럽(Jockey Club of Saudi Arabia)의 수의 서비스 총괄인 토비 쾨니히(Dr. Toby Koenig)가 참석해 스웨덴 기업 Sleip의 솔루션 활용 경험을 발표한다. Sleip은 AI 기반 영상 분석을 통해 말의 보행과 움직임을 평가해 부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을 개발한 기업으로, 쾨니히 박사는 이 기술을 사우디 경마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했는지 실제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Sleip의 마케팅 총괄 퍼 하스브링(Per Hassbring)도 참여해 제품과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또한, 프랑스의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Arioneo도 발표에 참여한다. Arioneo는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말의 심박수, 속도,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훈련 강도와 건강 상태를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공동창업자이자 경영 총괄자인 발랑탱 라팡(Valentin Rapin)과 연구개발 총괄자인 기욤 뒤부아(Guillaume Dubois)가 참여해 기술적 발전과 실제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국내에서는 서울조교사협회 전 팀장 김성민이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와 2년간 공동 연구한 스마트 기술 조교 현장 적용 결과를 발표하며, AI 기반 반려동물 헬스케어 기업 에이아이포펫(AI For Pet)의 허은아 대표이사가 동물 의료·생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경주마 산업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내외 조교사, 마필관리사, 스타트업 관계자, 말산업 관계자 등 약 100여 명이 현장에 참석할 예정이다.
사전 녹화 방식으로 제작된 발표 영상에는 한국어 자막이 제공되고 마지막에는 연사들이 직접 참여하는 실시간 질의응답 세션도 통역과 함께 마련된다.
한국마사회 정기환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경마산업이 첨단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는 미래를 준비하는 자리”라며, “특히 경주마의 보건과 훈련을 직접 담당하는 조교사와 마필관리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영감을 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