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민주노총부산본부, ‘2026년 적용 부산시 생활임금’ 요구안 발표 및 투쟁선포

"2026년 적용 부산시 생활임금 13,890원으로 인상하고 적용범위 확대하라"

2025-08-19 10:31:38

16개시도 24~25년 연도별 적용 생활임금 금액 및 전국 순위비교/2025년 부산시 구·군별 생활임금 비교.(제공=민주노총부산본부)이미지 확대보기
16개시도 24~25년 연도별 적용 생활임금 금액 및 전국 순위비교/2025년 부산시 구·군별 생활임금 비교.(제공=민주노총부산본부)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시민의 삶을 지키는 생활임금, 제대로 보장하라!” 부산시민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임금을 보장하라!” 하청·용역 차별 없는 생활임금 보장하라!”부산시장은 책임 있게 생활임금 제도를 강화하라!”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본부장 김재남)는 8월 19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2026년 적용 부산시 생활임금’ 요구안 발표 및 투쟁선포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은 민주일반노조 부산본부의 발언(부산시는 공기업의 하청노동자인 태종대유원지 노동자들에게 생황임금 적용하라), 부산지하철노조의 발언(부산시는 생활임금 제대로 인상하고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 김재남 민주노총부산본부장의 기자회견문 낭독순으로 진행됐다.

부산광역시의 2025년 적용 생활임금은 시급 11,917원이다. 이는 2024년 기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의 부산시 생활임금을 노동자들의 투쟁으로 5% 인상시켜내며 최하위권에서 5위로 높여내기도 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생활임금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며 생활임금 인상과 적용 대상 범위 확대,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시대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부산시는 광역시도 중 최초로 소멸위험지역에 들어섰다. 그 원인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저임금, 나쁜 일자리의 증가이다.

부산은 이미 인구소멸 위험지역·청년이 떠나는 도시로 위험상황에 놓여있지만 부산시의 개선의 의지는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생활임금은 여전히 시민들의 실제 생계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부산시의 2026년 생활임금 결정을 앞두고, 부산시와 생활임금위원회에 분명한 요구[적용범위 확대, 산입 범위를 축소하고 명확히 하라, 시급 13,890원(2025년 대비 16.6%인상수준/양대노총 제시 물가상승률 반영된 적정생계비인 시급 15,433원의 90%), 월 환산액 2,903,010원(209시간 기준)인상하라,생활임금위원회 운영의 민주성 보장, 부산시 책임강화-구·군동일 적용)를 밝혔다.

김재남 민주노총부산본부장은 "부산시는 생활임금 적용 대상을 출자·출연기관·공기업의 하청노동자까지 확대하여 제도의 취지를 제대로

살려야 한다. 생활임금을 기본급 중심으로 산정하도록 조례를 개정하고, 산입 범위를 축소·명확히 해야 한다"며 "내일(20일)부터 부산시청에서 매일 진행되는 출근선전전을 시작으로 요구안을 실현시키기 위한 투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더 이상 ‘이름뿐인 생활임금’이 아닌 부산에서 노동하며 살아갈수 있는, 현실적이고 책임 있는 생활임금을 요구한다. 부산시는 시민 모두의 삶을 지키는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