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토론회는 공공운수노조·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민주버스본부가 공동 주관했고 권영진·손명수·염태영·윤종군·윤종오·이건태·이연희·이춘석·한준호·황운하·용혜인 국회의원 등이 공동주최자로 함께 참여했다.
정준호 의원은 “K-패스는 단순한 교통비 지원을 넘어 K-패스를 환급위주의 지원책이 아닌 ‘시민들의 일상에 자리 잡을 정기권’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후위기 대응과 교통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핵심 공공정책이 돼야 하고 지방정부에 떠넘겨진 재정 부담도 완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토론회에선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실질적 정기권’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K-패스는 지난해부터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개편해 도입된 정책이다. 이는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에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발제자로 나선 김상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센터장은 “K-패스를 환급위주의 지원책이 아닌 ‘진짜 정기권’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게 적용되는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권으로 업그레이드해 이용자 체감 혜택을 높이고 재정은 중앙정부가 책임져 제도의 지속가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기도 했다.
서울시가 작년부터 운영 중인 ‘기후동행카드’도 이날 토론회에서 비교 대상으로 언급됐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시내버스·지하철·공공자전거 등을 월 6만5천 원에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책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렇지만 이용자들은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수도권 외 지역으로는 연결되지 않아 광역 생활권의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불편을 호소했다.
그래서 정 의원은 “서울 중심의 단편적인 정책이 아니라 진정한 전국 단위의 교통 기본권 대책이 필요하다”며 “기후위기 대응과 대중교통 활성화를 말하면서 수도권 바깥 시민은 배제하는 것은 결코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알다시피 정준호 의원은 지난 3월 K-패스를 국가 책임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이 법안은 (교통 인프라 부족 지역 정기권 도입 확대·이용자 중심 설계 개선·제도 안정화 위한 정부 책임 명시)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토론회를 마무리하며 정 의원은 “공공교통은 기후위기와 불평등을 해결하는 핵심 인프라”라고 재차 밝히면서 “대중교통 정기권의 전국적 시행은 교통 불평등 해소와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첫걸음이자 지속 가능한 교통 체계를 만드는 핵심 수단”이라며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입법 지원을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