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전KDN(사장 박상형)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KISA)이 함께 추진하는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에 참여해 에너지 분야 사업을 수주했다고 15일 밝혔다.
한전KDN에 따르면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은 양자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될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산업분야부터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국내 최초 시범사업이다.
사업에 적용하는 ‘양자내성암호(PQC, Post-Quantum Cryptography)’는 기존 공개키 암호(RSA, ECC 등)의 무력화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암호 기술로 향후 국가 사이버 보안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한전KDN이 주관사로 참여하는 연합체의 에너지 분야 사업은 에너지 분야 암호체계 시범사업 추진 과정의 전환 절차와 적용 사례를 자료화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상호 운용성 등에 대한 기술 검증과 암호체계 전환 시 대두될 이슈 파악, 방법론 확보 등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주관사인 한전KDN을 포함해 케이사인, 샌즈랩 등 민간 기업이 참여하고 한국전력공사가 수요기관으로 함께한다.
한전KDN 연합체는 에너지 분야 AMI(전력 사용량 원격 검침) 시스템 관련한 기존 암호체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새로운 양자보안 환경으로의 원활한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한전KDN 연합체의 에너지 분야 전환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양자내성암호의 AMI 시스템 적용 △적용 과정의 보안성, 성능, 운영 안전성 검증 △AMI 시스템 연계 전력망 인프라에 대한 효과적인 통합과 운영 문제점 최소화 방안 도출 △알고리즘별 양자내성암호 적용에 따른 성능 저하 여부 검토 및 최적화 방안 도출을 통한 실용성 확보 △실증 결과 자료화로 AMI 및 기타 중요 인프라의 양자 보안 전환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 수립 등이다.
한전KDN은 주관기관으로서 본 사업의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총괄 기획과 양자내성암호 공개 키 인프라(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시스템 구축을 수행한다.
민간 참여사인 케이사인은 양자내성암호 하이브리드 PKI 시스템 개발과 보안용 PQC 암호 라이브러리를 개발하고 샌즈랩은 PQC암호전환 관리 시스템 개발을 맡는다.
수요기관인 한국전력공사는 AMI시스템의 시범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PQC 기술 적용 과정에 대한 실증 및 검증을 수행한다.
한전KDN 관계자는 “양자컴퓨팅이라는 최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래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실증 기반 마련으로 국가 보안 표준화를 선도하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에너지ICT 플랫폼 전문 공기업으로서 에너지산업의 공공 부문과 산업 현장을 이어주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고자 하며 양자내성암호 전환의 점진적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에는 ‘의료 데이터 중계 플랫폼’의 암호체계 전환을 담당하는 라온시큐어 연합체와 국가행정시스템의 전환을 담당하는 LGU+ 연합체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양자내성암호의 실증적 효용성 검증 및 산업별 적용 가능성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양자내성암호 전환 로드맵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전KDN(사장 박상형)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KISA)이 함께 추진하는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에 참여해 에너지 분야 사업을 수주했다고 15일 밝혔다.
한전KDN에 따르면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은 양자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될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산업분야부터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국내 최초 시범사업이다.
사업에 적용하는 ‘양자내성암호(PQC, Post-Quantum Cryptography)’는 기존 공개키 암호(RSA, ECC 등)의 무력화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암호 기술로 향후 국가 사이버 보안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한전KDN이 주관사로 참여하는 연합체의 에너지 분야 사업은 에너지 분야 암호체계 시범사업 추진 과정의 전환 절차와 적용 사례를 자료화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상호 운용성 등에 대한 기술 검증과 암호체계 전환 시 대두될 이슈 파악, 방법론 확보 등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주관사인 한전KDN을 포함해 케이사인, 샌즈랩 등 민간 기업이 참여하고 한국전력공사가 수요기관으로 함께한다.
한전KDN 연합체는 에너지 분야 AMI(전력 사용량 원격 검침) 시스템 관련한 기존 암호체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새로운 양자보안 환경으로의 원활한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한전KDN 연합체의 에너지 분야 전환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양자내성암호의 AMI 시스템 적용 △적용 과정의 보안성, 성능, 운영 안전성 검증 △AMI 시스템 연계 전력망 인프라에 대한 효과적인 통합과 운영 문제점 최소화 방안 도출 △알고리즘별 양자내성암호 적용에 따른 성능 저하 여부 검토 및 최적화 방안 도출을 통한 실용성 확보 △실증 결과 자료화로 AMI 및 기타 중요 인프라의 양자 보안 전환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 수립 등이다.
한전KDN은 주관기관으로서 본 사업의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총괄 기획과 양자내성암호 공개 키 인프라(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시스템 구축을 수행한다.
민간 참여사인 케이사인은 양자내성암호 하이브리드 PKI 시스템 개발과 보안용 PQC 암호 라이브러리를 개발하고 샌즈랩은 PQC암호전환 관리 시스템 개발을 맡는다.
수요기관인 한국전력공사는 AMI시스템의 시범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PQC 기술 적용 과정에 대한 실증 및 검증을 수행한다.
한전KDN 관계자는 “양자컴퓨팅이라는 최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래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실증 기반 마련으로 국가 보안 표준화를 선도하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에너지ICT 플랫폼 전문 공기업으로서 에너지산업의 공공 부문과 산업 현장을 이어주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고자 하며 양자내성암호 전환의 점진적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에는 ‘의료 데이터 중계 플랫폼’의 암호체계 전환을 담당하는 라온시큐어 연합체와 국가행정시스템의 전환을 담당하는 LGU+ 연합체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양자내성암호의 실증적 효용성 검증 및 산업별 적용 가능성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양자내성암호 전환 로드맵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