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 정용식)은 연이어 발생하는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로 인해 사회적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사고 조사 기법을 개발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 마련 및 기술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자동차리콜센터 접수된 급발진 의심 사고 신고 건수는 총 111건으로 2020년 대비 2024년 68%나 감소했으나,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TS는 급발진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기술분석 및 실차확인조사를 통해 차량의 결함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경찰 등 유관기관 요청 시 사고조사에 참여해 원인 규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사고영상, 주행기록데이터 등 자동차 급발진 의심사고 조사에서 수집된 정보는 다른 사고의 원인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TS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사고분석 전용 프로그램(K-AI)을 개발하고 사고원인 규명에 활용하고 있으며, 기술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1월 특허등록까지 완료했다.
특히 가속페달 바닥매트 걸림, 외부 물체 끼임 등으로 의도하지 않은 가속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국민 대처 요령을 마련했다고 TS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TS는 의도하지 않은 가속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동페달을 작동시키는 방법과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히며, 제작자와 소비자에게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지속적으로 안전조치 방법을 홍보하고 있다.
이밖에 TS는 급발진 의심 사고를 보다 면밀히 수행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 평가 체계 마련에도 노력하고 있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앞으로도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해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근부터 적극적인 예방 대책 마련까지 최선을 다해 국민의 불안은 해소하고 안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최근 5년간 자동차리콜센터 접수된 급발진 의심 사고 신고 건수는 총 111건으로 2020년 대비 2024년 68%나 감소했으나,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TS는 급발진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기술분석 및 실차확인조사를 통해 차량의 결함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경찰 등 유관기관 요청 시 사고조사에 참여해 원인 규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사고영상, 주행기록데이터 등 자동차 급발진 의심사고 조사에서 수집된 정보는 다른 사고의 원인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TS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사고분석 전용 프로그램(K-AI)을 개발하고 사고원인 규명에 활용하고 있으며, 기술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1월 특허등록까지 완료했다.
특히 가속페달 바닥매트 걸림, 외부 물체 끼임 등으로 의도하지 않은 가속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국민 대처 요령을 마련했다고 TS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TS는 의도하지 않은 가속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동페달을 작동시키는 방법과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히며, 제작자와 소비자에게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지속적으로 안전조치 방법을 홍보하고 있다.
이밖에 TS는 급발진 의심 사고를 보다 면밀히 수행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 평가 체계 마련에도 노력하고 있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앞으로도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해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근부터 적극적인 예방 대책 마련까지 최선을 다해 국민의 불안은 해소하고 안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