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스알은 최근 조직문화 진단을 통해 확인된 인재 구성 특징을 바탕으로 위계 중심에서 역할 중심으로의 문화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에스알이 외부전문 기관에 의뢰해 조직문화 진단 컨설팅을 실시한 쟁가치모형 기반 분석결과를 보면 공공기관에서 흔히 나타나는 전통적인 위계지향 문화를 벗어나 ‘관계지향(Clan)’ 조직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업무수행 방식(workstyle)에 대한 컬쳐핏(culture-fit) 검사 결과 역시, 현재 에스알 직원들 사이에 관계지향적인 일 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알의 조직 리더십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철도’와 ‘공공기관’에서 흔히 ‘위계형 리더십’이 주를 이뤘다면, 에스알은 구성원의 관계와 협업을 중시하는 ‘관계형 리더십’이 부상 중이다. 조직문화 진단 결과에 따르면, 현재 에스알 간부들의 성향은 ‘혁신형 리더’가 50%로 가장 많고, ‘성과형 리더’는 9%에 그쳤다. 권장되는 리더십은 ‘관계형 리더’가 31%로 가장 높은 반면 ‘위계형 리더’는 10%에 그쳤다.
무엇보다 에스알은 다른 철도기업이나 공기업과 달리 인재상(Talent Fit) 구성이 특이할 만큼 균형 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인재유형이 고르게 어우러진 하나의 ‘조직문화 포트폴리오’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인재 구성은 글로벌 IT기업 G사 M사 등에서 나타나는 모습이다.
에스알은 기존 공공기관에 만연했던 위계 중심 문화로는 철도 서비스 혁신을 선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다양한 인재유형이 어우러지는 역할 중심 조직문화로의 전환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에스알은 이러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실행하고 있다. △‘신(新)인재상’ 체계 구축 △인재유형 기반 소통 증진 ‘하모니 워크숍’을 진행했고 △관계 중심 조직문화 강화를 위한 소통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향후 승계계획(Succession Planning)에 인재상 기반의 맞춤 육성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종국 에스알 대표이사는 “‘다양성이 경쟁력’이라는 가치를 에스알 조직문화에 구현함으로써 공급자 중심이었던 철도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미래 철도서비스 경쟁에서 한발 앞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