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IT·전자·방송·게임

[IT이슈] 위믹스, TVL 기준 글로벌 10대 블록체인 프로젝트 진입 外

2023-12-14 13:31:22

[IT이슈] 위믹스, TVL 기준 글로벌 10대 블록체인 프로젝트 진입 外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 기자] 위믹스(WEMIX)가 글로벌 가상자산 분석 사이트 코인마켓캡이 제공하는 TVL(Total Value Locked, 총예치금액) 기준 전세계 블록체인 프로젝트 순위에서 9위에 올랐다.

TVL은 예치된 가상자산의 총량을 나타내는 수치로, 단순 예치 규모를 넘어 가상자산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홀더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는 정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가 블록체인 경제 규모를 분석할 때 글로벌 표준 지표로서 채택하고 있다.

예치된 위믹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스테이킹이다. 이는 위믹스가 활발한 온체인 경제 활동이 발생되고, 전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블록체인 생태계 중 하나로 자리매김 했음을 의미한다.

위믹스는 메인넷 위믹스3.0(WEMIX3.0)을 중심으로, ▲글로벌 1등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 ▲탈중앙화금융 서비스 플랫폼 ‘위믹스파이(WEMIX.Fi)’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 NFT(대체불가능한토큰) 플랫폼 ‘나일(NILE)’ 등을 선보여 하나로 연결된 거대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믹스는 향후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경계를 허무는 옴니체인 이니셔티브 ‘우나기(unagi)’를 통해 초거대 생태계로의 진화를 거듭할 계획이다.

◆GLN 인터내셔널, 일본 JCB와 손잡고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확대에 앞장선다

GLN 인터내셔널 (대표 김경호, 이하 GLN)은 일본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브랜드사인 JCB Co., Ltd (대표 후테이 타카요시, 이하 JCB)와 글로벌 결제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사가 일본 내 해외 모바일 QR결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전략적 제휴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 됐으며, 이를 계기로 GLN은 GLN이 보유한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노하우와 디지털 기술력을 글로벌 간편 결제 시장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바탕으로 GLN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에 JCB가 합류함에 따라, 국내 및 해외에 소재한 GLN의 결제 서비스 파트너사들은 JCB의 ‘Smart Code' 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GLN은 한국과 일본 양국 간 QR네트워크를 연결해 GLN 이용 고객들이 일본 내 오프라인 매장 이용 시, 하나은행의 ’하나원큐‘, ’하나머니‘, KB국민은행의 'KB스타뱅킹’, ‘토스’ 등의 앱을 이용해 별도 환전 절차 없이 간편하게 ‘Smart Code' QR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김경호 GLN 인터내셔널 대표는 “JCB와 제휴를 통해 GLN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전 세계 모바일 월렛 사업자들에게 일본 QR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며 “향후 JCB와의 다양한 협력사업을 기반으로 보다 편리한 디지털 결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라고 밝혔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조선해양산업 디지털 전환 이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는 가상 공간에서 선박과 해양플랜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선박·해양 구조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디지털트윈은 현실 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가상의 공간에 동일하게 구현, 연계해 다양한 조건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KRISO가 개발한 플랫폼을 이용하면 실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상세 구조를 반영한 모델을 가상 디지털 공간에 구현해 다양한 해상환경에서 구조물 상태를 실시간 양방향 평가하고 변형, 노화, 부식 및 손상 등을 고려해 10∼20년 후의 상태 변화를 예측, 앞으로의 사용수명 평가도 할 수 있다.

이전에는 다양한 해상환경 조건의 선박 및 해양플랜트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막대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디지털트윈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