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산업일반·정책·재계

[산업 이슈] 두산밥캣, 실리콘밸리 애그테크 기업에 지분투자 外

2023-06-07 20:13:03

[산업 이슈] 두산밥캣, 실리콘밸리 애그테크 기업에 지분투자 外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산밥캣이 무인·자동화 관련 해외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잇달아 협약을 체결하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두산밥캣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농업 신기술(애그테크) 소프트웨어 회사인 ‘애그토노미(Agtonomy)’에 지분투자를 했다고 7일 밝혔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애그토노미는 농업 및 조경 장비(GME, Grounds Maintenance Equipment) 관련 애그테크 기업으로 구글 벤처(GV), 도요타 벤처, 미래에셋 벤처투자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라고 전했다.

애그토노미는 잡초를 뽑거나 풀을 베는 작업, 작물보호제를 살포하거나 농작물을 운반하는 일 등 노동집약적 작업들을 원격으로 실행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세계가 직면한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운영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꼽힌다.

트랙터, 잔디깎이, 유틸리티 차량 등 장비와 더불어 다양한 농업 및 조경 관련 어태치먼트를 보유하고 있는 두산밥캣은 지난 2월 애그토노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뒤 작업 효율과 정확도를 높이는 원격·무인화 및 전동화 기술을 함께 개발해 왔다. 이번 지분 투자로 양사 간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함에 따라 기술 개발 속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두산밥캣은 다수의 글로벌 무인·자동화 기업들과 기술 고도화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지난 2021년 미국의 레이더 센서 전문 기업인 ‘아인슈타인(Ainstein)’을 시작으로, 지난해 미국 상업용 잔디깎이 자동화 소프트웨어 회사인 ‘그린지(Greenzie)’와도 지분 투자 형태의 협약을 체결했다. 두산밥캣의 자회사인 두산산업차량은 스웨덴의 물류 장비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콜모겐(Kollmorge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무인 지게차(AGF)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미국의 리서치 전문기관인 마켓리서치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자율주행 농업용 장비 시장은 107억 달러로 파악됐으며, 향후 5년 간 연평균 21% 성장해 2027년 285억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고객들이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연말 께 선보이게 될 무인 잔디깎이 제품을 비롯해 농업·조경·건설·물류 등 다양한 분야의 장비에 자동화 기술 적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쏘시스템- 베르코어(Verkor), 저탄소 배터리 개발 및 제조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다쏘시스템이 유럽의 전기차 및 고정 배터리 분야를 선도하는 베르코어(Verkor)와 유럽 내 배터리 생태계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다쏘시스템과 베르코어는 리튬이온배터리 및 최초의 기가팩토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유럽의 배터리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2050년까지 기후 중립 달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양사는 가상으로 전 제품 및 공정 과정에 대한 모범 사례를 수립하여 혁신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수명주기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위험을 완화한다. 이 과정에서 다쏘시스템의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과 하이테크, 교통, 에너지 및 재료 산업에 걸친 혁신적인 지식과 노하우는 제품, 공정, 플로우 시뮬레이션, 공급업체 협력 및 전체 품질 관리와 같은 영역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수립하는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림피앤피의 인도네시아 산림파괴 사업 중단 선언, 산림복원‧보전 책무 다해야
지난 6월 2일 국내 2위 제지 업체인 무림피앤피(이하 무림)가 산림파괴로 얼룩진 인도네시아 파푸아주에서의 조림 사업 철수를 전격 발표했다. 무림은 자회사 PT PNMP(PT Plasma Nutfah Marind Papua)를 통해 서울시보다 넓은 6만 4,000ha의 조림 사업지를 운영하고 있으나, 시민단체, 지역사회, 산림인증 기구(FSC)의 지속된 문제 제기로 “산림벌채 제로화”와 함께 작업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오랫동안 생태환경을 파괴해 왔던 무림의 이러한 결정은 지금, 이 순간에도 토착민의 생태계를 훼손하고 있는 수많은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발표로 ‘친환경 기업’의 소임을 다했다고 자평해선 안 된다. 무림이 빼앗은 토착민의 삶과 자연의 생명을 돌려주어야 하는 큰 책무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무림은 종이‧펄프의 원재료로 쓰이는 목재 생산을 위해 자연의 열대림을 베고 그 자리에 인공 플랜테이션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이 사업으로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축구장 8,500개 면적에 달하는 6,000ha 이상의 열대림을 파괴해 왔다. 무림은 이미 2021년 말부터 벌목을 중단했다고 밝혔으나, 파푸아 현지에서는 불공정한 협상 조건에서 토지와 성소를 빼앗긴 토착민들의 저항이 계속되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