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라인 넥스트 ‘도시(DOSI)’ 개인 간 거래(C2C) 서비스 개시
라인 넥스트(LINE NEXT Inc., 대표: 고영수)가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의 개인 간 거래(C2C) 서비스를 개시하고, 이더리움(ETH) 결제 지원 및 NFT 기반 멤버십인 ‘도시 시티즌(DOSI Citizen)’의 혜택 강화를 통해 도시 생태계 활성화 및 NFT 대중화에 나선다.
라인 넥스트 관계자는 "지난 9월 베타 버전으로 출시되어 글로벌 180여 개국에 9개 언어로 서비스되고 있는 도시의 NFT 마켓을 한층 더 활성화하기 위해, 유저 개인 간의 거래 서비스를 개시하여 종합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유저는 NFT 전용 지갑인 ‘도시 월렛(DOSI Wallet)’을 이더리움 지갑인 메타마스크(MetaMask) 지갑과 연동해, 도시 내 브랜드 스토어 등에서 구매한 NFT를 마켓플레이스에서 이더리움으로 간편하게 유저 간 판매 또는 구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도시의 ‘지옥(Hellbound)’ 브랜드 스토어에서 먼저 개인 간 거래 서비스를 개시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스토어에도 도입 예정이다"라며 "이와 함께, 더욱 편리한 NFT 경험을 위해 결제 수단에 이더리움을 추가하여, 도시 월렛에서 신용카드와 네이버페이 외에 이더리움으로도 결제가 가능해졌다"라고 밝혔다.
추후 국가별 로컬 간편 결제 및 다양한 가상자산을 추가하며 글로벌 NFT 선도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할 계획이다.
또한, 유저들이 생태계에 기여한 만큼 보상과 기회를 얻어 도시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NFT 기반 멤버십 도시 시티즌의 혜택을 강화했다. 커뮤니티 활동 참여 또는 NFT 구매 금액에 따라 멤버십 포인트인 ‘돈(DON)’을 획득하여, 도시 시티즌 등급을 4단계까지 업그레이드하거나 ‘도시 탐사(DOSI Adventure)’에서 다양한 NFT 경품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총 17만개의 멤버십 NFT가 발행되었으며, 도시 탐사를 통해 총 18만 달러 상당의 NFT 경품이 지급되는 등 도시는 다양한 보상과 함께 새로운 NFT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멤버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도시 시티즌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영수 라인 넥스트 대표는 “라인넥스트는 유저들에게 새로운 NFT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유저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함께 성장해 나가려 한다”라고 밝혔다.
◆코리아 엑스포(Korea-Expo) 프랑스 파리서 개최
2023 코리아 엑스포가 유럽의 경제문화 중심지 프랑스 파리에서 2023년 5월 13일 개막해 15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코리아 엑스포”는 한국 참가기업들의 제품을 소개하는 박람회를 중심으로 현지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 온라인 비즈매칭, 한국 스타트업 피칭 페스티벌 등 비즈니스 행사와 K-뷰티 스타일링 페스티벌, K-푸드 쿠킹클래스 및 패션쇼, K-팝,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일반 관람객들이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박람회는 기존에 해외에서 개최되었던 한국상품 전시회와 달리, 한국의 IT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 제품 등의 산업분야와 K-뷰티, 푸드, 생활용품 등 소비재 분야까지 아우르는 전시로 제품 라인업의 다양성과 한국에 대한 내러티브를 강화할 예정으로 관련 바이어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버스핀, 대출비교 플랫폼 핀다에 피싱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 공급
정보 보안 기업 에버스핀(대표 하영빈)이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에 피싱 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핀다는 업계 최다 62개 금융기관과 손잡고 개인 맞춤형 대출 비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대표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올해 1~9월 누적 대출중개 건수가 지난해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었고, MAU(월간활성사용자) 70만을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핀다는 금융기관에 못지않은 보안 수준을 갖추고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에버스핀의 페이크파인더를 적용하기로 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라인 넥스트(LINE NEXT Inc., 대표: 고영수)가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의 개인 간 거래(C2C) 서비스를 개시하고, 이더리움(ETH) 결제 지원 및 NFT 기반 멤버십인 ‘도시 시티즌(DOSI Citizen)’의 혜택 강화를 통해 도시 생태계 활성화 및 NFT 대중화에 나선다.
라인 넥스트 관계자는 "지난 9월 베타 버전으로 출시되어 글로벌 180여 개국에 9개 언어로 서비스되고 있는 도시의 NFT 마켓을 한층 더 활성화하기 위해, 유저 개인 간의 거래 서비스를 개시하여 종합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유저는 NFT 전용 지갑인 ‘도시 월렛(DOSI Wallet)’을 이더리움 지갑인 메타마스크(MetaMask) 지갑과 연동해, 도시 내 브랜드 스토어 등에서 구매한 NFT를 마켓플레이스에서 이더리움으로 간편하게 유저 간 판매 또는 구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도시의 ‘지옥(Hellbound)’ 브랜드 스토어에서 먼저 개인 간 거래 서비스를 개시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스토어에도 도입 예정이다"라며 "이와 함께, 더욱 편리한 NFT 경험을 위해 결제 수단에 이더리움을 추가하여, 도시 월렛에서 신용카드와 네이버페이 외에 이더리움으로도 결제가 가능해졌다"라고 밝혔다.
추후 국가별 로컬 간편 결제 및 다양한 가상자산을 추가하며 글로벌 NFT 선도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할 계획이다.
또한, 유저들이 생태계에 기여한 만큼 보상과 기회를 얻어 도시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NFT 기반 멤버십 도시 시티즌의 혜택을 강화했다. 커뮤니티 활동 참여 또는 NFT 구매 금액에 따라 멤버십 포인트인 ‘돈(DON)’을 획득하여, 도시 시티즌 등급을 4단계까지 업그레이드하거나 ‘도시 탐사(DOSI Adventure)’에서 다양한 NFT 경품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총 17만개의 멤버십 NFT가 발행되었으며, 도시 탐사를 통해 총 18만 달러 상당의 NFT 경품이 지급되는 등 도시는 다양한 보상과 함께 새로운 NFT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멤버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도시 시티즌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영수 라인 넥스트 대표는 “라인넥스트는 유저들에게 새로운 NFT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유저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함께 성장해 나가려 한다”라고 밝혔다.
◆코리아 엑스포(Korea-Expo) 프랑스 파리서 개최
2023 코리아 엑스포가 유럽의 경제문화 중심지 프랑스 파리에서 2023년 5월 13일 개막해 15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코리아 엑스포”는 한국 참가기업들의 제품을 소개하는 박람회를 중심으로 현지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 온라인 비즈매칭, 한국 스타트업 피칭 페스티벌 등 비즈니스 행사와 K-뷰티 스타일링 페스티벌, K-푸드 쿠킹클래스 및 패션쇼, K-팝,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일반 관람객들이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박람회는 기존에 해외에서 개최되었던 한국상품 전시회와 달리, 한국의 IT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 제품 등의 산업분야와 K-뷰티, 푸드, 생활용품 등 소비재 분야까지 아우르는 전시로 제품 라인업의 다양성과 한국에 대한 내러티브를 강화할 예정으로 관련 바이어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버스핀, 대출비교 플랫폼 핀다에 피싱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 공급
정보 보안 기업 에버스핀(대표 하영빈)이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에 피싱 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핀다는 업계 최다 62개 금융기관과 손잡고 개인 맞춤형 대출 비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대표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올해 1~9월 누적 대출중개 건수가 지난해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었고, MAU(월간활성사용자) 70만을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핀다는 금융기관에 못지않은 보안 수준을 갖추고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에버스핀의 페이크파인더를 적용하기로 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