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지사는 이날 오후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성평등 정책 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경기도의 '여성 청소년 기본 생리용품 보편지원' 정책을 전국화하겠다"며 공약했다.
경기도형 공공산후조리원이란 출산 가정의 경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요금은 경기지역 일반 산후조리원 평균 요금의 70% 수준으로 이에 이 지사는 또 '출산휴가·육아휴직 자동등록제'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전국민 고용보험 로드맵에 따라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 특수고용, 비정규직 등 불안정한 일자리를 가진 노동자들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점진적으로 육아휴직 소득대체율을 높여 아빠도 육아에 더욱 많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른바 '젠더 폭력'에 대한 종합 대책도 발표했다.
이 지사는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설립한 '경기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 모델을 전국에 확대해 피해자의 접근성을 대폭 높이겠다"며 "센터와 광역 자치경찰 및 경찰청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효과적이고 성인지적인 수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직장 내 성차별·성희롱 피해를 실질적으로 구제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지사는 "시정명령권을 지닌 노동위원회 산하에 가칭 '고용공정위원회'를 설치해 일터 내 성차별 피해를 신속히 시정하겠다"며 "고용노동부에는 고용 평등 업무를 총괄하는 전담부서를 두어 다양한 고용영역 차별에 대응하겠다"며 "특히 채용 성차별 신고 발생 즉시 현장 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이를 국민에게 공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