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김경수 도지사· 김성환 국회의원, 부울경 메가시티· 탄소중립시대 등 미래전략 제시

2021-06-27 18:50:26

6월 26일 민주당 경남도당이 개최한 정치아카데미에서 김경수 도지사와 김성환 국회의원이 강사로 나서 경남의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이미지 확대보기
6월 26일 민주당 경남도당이 개최한 정치아카데미에서 김경수 도지사와 김성환 국회의원이 강사로 나서 경남의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로이슈 전용모 기자] 김경수 도지사와 김성환 국회의원이 6월 26일 오후 민주당 경남도당이 개최한 정치아카데미에 강사로 나서 경남의 미래전략을 제시했다.

김경수 도지사는 이날 강연에서 경남과 부산, 울산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부울경 메가시티 정책의 추진 배경과 부울경 공동체 구성을 위한 세부 사업의 성과와 국가 균형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경수 도지사는 이날 강의를 시작하면서 “지난 한 해 30대 이하 청년 인구의 수도권 순유입은 10만3천 명이었고 40대 이상 인구가 비수도권으로 빠져나간 인구는 1만5천 명이었다. 수도권의 합계출산율과 삶의 만족도도 전국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집중, 이대로 가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침몰한다”고 단언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 합계출산율은 0.84명이었고 수도권은 0.64명을 기록해 자생력을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수도권의 삶의 질에 대한 균형발전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 수도권의 삶의 만족도는 3.59로 전국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수도권은 과밀로 고통받는 반면에 비수도권은 청년 인구 유출과 고령화 가속으로 인한 경쟁력의 감소와 소멸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김경수 도지사는 “이미 선진국들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초광역 협력체계를 만들고 있다. 부울경 메가시티 전략은 네 개의 거점 도시인 진주와 창원, 부산, 울산과 주변의 지역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이다. 1시간 생활권을 목표로 광역대중 교통망과 지역별 장점을 살린 미래 먹거리 산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가덕도 신공항과 항만, 철도를 연계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물류가공산업과 자유무역지역을 확대하고 배후 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가덕 신공항과 진해신항, 부산항 신항의 연계를 통해서 동남권의 산업과 경제 분야에 혁신을 주도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경수 도지사는 행정통합과 경제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시간표도 제시했다. “지난해 지방자치법이 개정되면서 광역특별연합을 만들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됐다. 오는 7월에는 부울경 광역특별연합 합동추진단을 발족하고 내년에는 부울경 광역특별연합을 출범시켜서 장기적으로 행정통합과 경제통합을 위한 협의가 시작된다”고 알렸다.

김경수 도지사는 강의를 마무리하면서 “부울경 메가시티를 추진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청년들 때문이었다. 청년들이 떠난 곳은 미래가 없다. 지역에 미래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어야 하고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면서 생활정치의 현장에서 도민과 함께 호흡하고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의회의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다.

김경수 도지사의 강의에 이어 김성환 국회의원(민주당 탄소중립실행위원장)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세계 각국의 대응과 탄소중립 산업혁명을 대비한 경남의 생존전략에 대해 강의했다.

김성환 국회의원은 “지난해 동토의 땅인 시베리아 일부 도시의 기온은 관측 사상 최고인 38도까지 상승했고, 중국 남부에서는 대규모 홍수 피해가 발생했다. 한반도는 역대 최장기간인 54일의 장마를 겪으면서 물난리를 겪었다. 기후 위기는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성환 의원은 “우리가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으며 세계 각국은 탈석탄, 탈석유 등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산업구조 재편을 시작하고 있다. 이제 석유 연료에 기반한 1900년대의 2차 산업혁명 시대는 저물고 석탄과 석유를 쓰지 않는 녹색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광주는 ‘2045년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제주는 2030년, 호남은 RE300을 선언했다. 경남도에서도 노후된 석탄발전을 폐쇄하고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특히 조선업 등 중후장대형 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를 가진 경남은 탄소중립 시대 대응에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