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강병원 영양실은 1994년 외주화 이후 수많은 업체가 운영해왔지만, 조리원들은 계속 고용을 승계했다. 그러나 2021년 새롭게 운영을 맡은 사회필요기업을 내세우고 있는 동원그룹 동원홈푸드(대표 신영수)는 조리원 28명의 고용승계를 거부했다.
철야 대기에 들어갔음에도 병원 측은 사태 해결을 위한 아무런 답변 없이 철수를 요구했다. 철야 대기 조합원들은 집단해고 사태를 해결할 방안이 나올 때까지 앉아 있겠다며 움직이지 않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병원 측은 공권력을 요청했다. 출동한 경찰은 경위를 파악한 뒤 “안타깝다”라며 공권력이 개입할 문제가 아님을 밝히고 노사 양측에 원만한 해결을 주문하고 철수했다는 것이다.
조합원들의 집단해고 철회, 이사장실 앞 철야 대기는 지난 5일 박원희 이사장과의 면담에서 “동원홈푸드와 깊이 있는 대화를 하겠다”라고 공언했지만 11일까지 아무런 답변이 없었던 것에 따른 것이다.
집단해고에 맞선 동강병원 영양실 조합원들의 투쟁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조합원 자녀가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렸다. 또한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는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집단해고 철회를 촉구하며 해결되지 않을 시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7만5천 조합원과 울산지역 50만 노동자, 시민들의 연대로 끝까지 투쟁할 것임을 밝혔다. 이번 주 내에는 울산시민사회단체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다.
또한, 조합원들은 박원희 이사장 자택 앞에서도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야만적인 집단해고가 철회되고 일터로 돌아갈 때까지 동강병원 영양실 조리원 고용승계 투쟁을 7만7천 조합원의 힘으로 전개할 것임을 지난 6일 임시대의원대회를 통해 확인했다. 동강병원과 동원홈푸드가 집단해고 철회를 약속하는 그 날까지 투쟁은 계속될 것이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