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7일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8시 기준 3기 신도시 홈페이지 방문자 수가 총 106만1253명으로 집계됐으며, 방문자 중 18만명이 관심지구의 청약일정을 3~4개월 전 문자로 통보해주는 ‘청약일정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청약일정 알림 신청자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신도시 선호도는 특정지역 쏠림 현상 없이 하남교산(20%), 과천(18%), 고양창릉(17%), 남양주왕숙(15%), 부천대장(13%), 인천계양(11%) 등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서울 거주자가 33%를 차지하는 만큼 서울 주택수요 분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3기 신도시는 오는 2021~2022년 사전청약, 2023년 본청약, 2025년 입주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과거 보금자리주택사업은 사전예약 직후 늦게는 2∼3년 뒤에 보상절차를 진행했지만, 이번 3기 신도시는 사전청약 1년 전에 보상공고하는 등 보상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이후 사전청약을 진행한다는 게 특징이다.
또 사전청약 대상구역은 문화재 등 사업지연 우려가 적은 곳을 선정했으며, 사전청약 시점에는 보상 및 문화재 여건 등을 면밀히 검토한 이후 대외 변수로 인한 사업지연 가능성이 낮은 구역을 최종 확정,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3기 신도시의 경우 사전청약 이후에도 분양주택 8만~9만호를 본 청약을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계적인 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도시·건축·교통·환경 등 분야별 최고 전문가 60명, 미국·네덜란드 기업, 국내외 85개 기업 약 800명의 기술자들이 참여해 지구계획을 수립 중이다”며 “남양주왕숙·하남교산·인천계양은 내년 상반기, 고양창릉·부천대장은 하반기에 확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국민의 바람이 3기 신도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내년 상반기부터 사전청약 희망자 및 당첨자로 구성된 ‘3기 신도시 국민멘토단(가칭)’을 운영할 예정이다”며 “입주 시 교통 불편이 없도록 광역교통개선대책도 신속히 추진 중으로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은 연내 모두 확정될 예정으로, 도로·지하철 사업 등이 적기에 완공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 등 후속절차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