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안과 한진우 교수 연구팀은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환자 50명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결과 및 유전양상, 표현형을 종합한 분자유전학적 진단 결과를 18일 밝혔다.
환자 중 78%(39명)에서 원인 유전자가 발견됐다. GUCY2D(20%), NMNAT1(18%), CEP290(16%)이 가장 많이 발견됐고, 유전체 복제수 변이(copy number variation, CNV)도 3명(6%)에게서 발견됐다. 복제수 변이는 보통의 유전자 검사법으로는 잘 검출되지 않아 병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인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으로 복제수 변이를 발견함으로써 더 정확히 원인 변이를 파악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전자 치료를 시도할 수 있는 유전자형(RPE65)은 1명(2%)이었다. 또 2명(4%)은 시니어로큰 증후군(Senior Loken syndrome)으로 시력소실과 함께 신장이 같이 손상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유전자 분석을 통해 미리 발견한다면 조기에 신장이식 등 맞춤 치료를 준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를 진행한 한진우 교수는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26개의 원인 유전자가 발견됐지만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환자의 유전자형 분포 및 각 유전자와 임상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했으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이 정확한 진단과 함께 환자의 맞춤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또 한 교수는 “유일한 치료법인 유전자 치료제 및 검사 비용을 낮추는 것이 숙제”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과 학술용역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국제학술지 ‘Molecular Vision’ 최근호에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