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에 따르면 ‘AR 덕수궁’은 ‘점프 AR’앱에 들어가면 이용할 수 있으며, 덕수궁 내 12개의 건물과 6만1205㎡에 달하는 공간을 내 손 위에 올려놓고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3D ‘AR 지도’와 ‘AR포토존’ 등을 제공한다.
AR지도는 덕수궁내 건물 안내와 포토존·편의시설 등이 표시되고, 유모차나 휠체어 등도 쉽게 다닐 수 있는 추천코스 등을 통해 방문객의 편의성을 높여준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외국인 관람객들을 위한 영문 버전도 3월 말경 추가할 예정이며, 향후 AR플레이스를 지속 진화·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덕수궁내 대한문과 석어당·중화전·석조전 등 4개 지역에서 판다·고양이·웰시코기 등 AR 동물들과 인증샷을 찍을 수 있는 ‘AR 포토존’도 제공한다.
또 왕이나 왕비 그리고 영의정·수문장 등으로 변한 자신의 모습을 담는 셀피 기능(‘전생체험’)도 갖췄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은 덕수궁의 전체 모습을 한눈에 현장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드론 및 여러 대의 카메라로 덕수궁 현장을 실사 촬영하고 ‘eSpace 기술’*과 ‘사진측량기술’을 통해 현실과 동일한 가상의 3차원 덕수궁 공간모델을 생성했다고 전했다. eSpace 기술은 실제 공간을 드론 및 다수의 카메라로 스캔 후 처리 작업을 통해 현실과 동일한 3차원 폴리곤(polygon)으로 구성된 3D 디지털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여기에 소요된 드론사진이 2천여장, 건물과 공간 구석구석을 담은 그라운드 사진이 7500여장 등 1만여장에 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획득, 가공했다.
또 이용자들이 덕수궁을 스마트 폰에서 상하좌우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돌려보고, 가까이·멀리 시점을 달리해 볼 수 있도록 ‘고속실사 렌더링 기술’*과 ‘공간분할 렌더링 기술’, ‘LOD렌더링 기술’도 채택했다고 전했다.
‘고속실사 렌더링기술(Realtime Realistic Rendering)’이란 대규모 공간모델을 사용자 시점 기반 공간분할 및 LOD(Level of detail, 단계별) 렌더링 기술을 적용하여, 고성능 PC가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실사와 같은 고품질 그래픽을 표현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 전진수 5GX서비스사업본부장은 "AR 덕수궁은 고도의 공간인식과 트래킹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양의 3D공간 데이터를 다양한 시야각에서 즐길 수 있도록 개발했다”며 “시간을 초월하여 현실 구조물 위에 과거의 역사와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낼 수 있는 증강현실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