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KOTRA에 따르면 해외 GP센터(Global Partnering Center)는 우리 자동차·조선 산업 분야 국내기업이 외국 유력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도모할 수 있는 현지 거점이다. KOTRA는 사무공간을 운영하는 동시에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유오피스형 GP센터의 경우, 수출바우처를 통해서도 신청 가능하다. 수출바우처 사업은 기업분담금(30~50%), 국고지원금(70%~50%)을 매칭펀드로 조성해 고객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방식이다. 수출바우처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탄력적으로 해당 바우처 예산을 활용해 GP센터 입주분담금을 납부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태양금속공업 이두원 대리는 “공유오피스형 해외 GP센터를 이용하면 전보다 저렴하게 사무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 기업과 협업할 수 있다”며 상하이 GP센터 입주 이유를 설명했다.
해외 GP센터는 미국 디트로이트, 독일 프랑크푸르트, 일본 나고야, 중국 상하이에 문을 연 자동차공동사무소(Korea AutoParts Plaza)가 모태다. 지원 산업을 조선, 전자, 항공 등 주력 소재·부품 분야까지 포함하고자 해외 GP센터로 확대개편해 운영 중이다.
또한 KOTRA는 오는 3월 신흥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멕시코 멕시코시티,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그리스 아테네 등 3개 지역에 신규 GP센터를 개소한다. 선진시장 중심 GP센터를 신흥국으로 확대해 신규 진출을 희망하는 주력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거점공간과 밀착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해외 GP센터를 이용한 성공사례로 프랑크푸르트에 입주한 ‘KB오토텍’을 들 수 있다. KB오토텍은 다임러(Daimler)와 매주 미팅을 통해 개발 가이드라인, 마케팅 방향을 적확히 수립했다. 그 결과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EQ SUV 신규모델 사업을 수주했다. KB오토텍은 2022년부터 2029년까지 300억원 규모로 후석 공조 시스템을 납품한다고 전해졌다.
양기모 KOTRA 주력산업실장은 “중국, 멕시코 등 신흥국은 소재·부품 분야에서 기회가 많으므로 GP센터를 확대해 한국기업의 진출을 가속화하겠다”며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GP센터에서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