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서울 종로(세종대로사거리~흥인지문교차로) 구간에서 추진한 ‘안전속도 5030’ 효과 분석결과 보행 부상자는 22.7%, 야간 급가속은 71.9% 감소했다고 11일 밝혔다.
‘안전속도 5030’은 도시부 차량속도를 간선도로는 시속 50㎞,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하향하는 정책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시,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민·관·학 12개 단체가 소속된 ‘5030 협의회’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서울지방경찰청과 함께 지난해 6월 27일부터 종로의 자동차 최고속도를 기존 시속 60㎞에서 시속 50㎞로 하향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공단은 이 구역의 교통사고 자료와 택시 등에 설치된 디지털운행기록(DTG) 자료를 활용하여 교통안전성 및 효과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시범사업 시행 후 하반기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19건에서 시행 전 동기간 16건으로 15.8% 감소하였으며, 보행 부상자 수는 22명에서 17명으로 2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안전속도 5030’ 시행 이전 5년간 보행자 교통사고 감소율이 2.5%, 부상자 수가 등락을 반복해 큰 변화가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수치이다.
속도하향으로 인한 우려 점으로 꼽히는 교통체계 운영효율성 부문에서도 교통량이 많은 14시와 18시에 주행속도가 오히려 소폭 증가해 영향이 거의 없거나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야간시간의 급가속 차량은 시행 전 평균 4.94%에서 1.51%로 71.88% 감소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다시 한 번 제한속도 하향의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입증됐다”며 “2021년 4월 17일부터 시행되는 전국 도시부 속도하향에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내 가족과 이웃의 생명을 구하는데 함께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안전속도 5030’은 도시부 차량속도를 간선도로는 시속 50㎞,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하향하는 정책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시,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민·관·학 12개 단체가 소속된 ‘5030 협의회’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서울지방경찰청과 함께 지난해 6월 27일부터 종로의 자동차 최고속도를 기존 시속 60㎞에서 시속 50㎞로 하향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공단은 이 구역의 교통사고 자료와 택시 등에 설치된 디지털운행기록(DTG) 자료를 활용하여 교통안전성 및 효과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시범사업 시행 후 하반기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19건에서 시행 전 동기간 16건으로 15.8% 감소하였으며, 보행 부상자 수는 22명에서 17명으로 2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안전속도 5030’ 시행 이전 5년간 보행자 교통사고 감소율이 2.5%, 부상자 수가 등락을 반복해 큰 변화가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수치이다.
속도하향으로 인한 우려 점으로 꼽히는 교통체계 운영효율성 부문에서도 교통량이 많은 14시와 18시에 주행속도가 오히려 소폭 증가해 영향이 거의 없거나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야간시간의 급가속 차량은 시행 전 평균 4.94%에서 1.51%로 71.88% 감소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다시 한 번 제한속도 하향의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입증됐다”며 “2021년 4월 17일부터 시행되는 전국 도시부 속도하향에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내 가족과 이웃의 생명을 구하는데 함께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