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박영선, 2년 전 청와대 문고리 3인방 비선실세 보고 국회서 질타

2016-10-26 16:05:51

[로이슈 신종철 기자] ‘최순실’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로 대한민국이 패닉상태에 빠진 가운데,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년 전에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청와대 비선실세에 의한 국정개입 의혹을 포착해 제기했는데, 그 의혹은 현재 ‘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나고 있다.

2014년 7월 당시 박영선 의원의 운영위상임위 질문은,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결정이 국무위원들과의 대면보고나 공식과정에 의하지 않고, 비선실세가 국정을 좌우한다는 얘기를 듣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미지 확대보기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
26일 박영선 의원은 2014년 5월경 원내대표 당선 직후 국정을 걱정하는 고위 관계자로부터 귀를 의심케 하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내용인 즉 “(청와대) 문고리 3인방 중 정호성(제1부속실장), 이재만(총무비서관)이 자주 밤에 번갈아 강남의 식당이 있는 건물로 서류를 보따리로 싸가지고 간다. 그 건물이 정윤회 부인 최순실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 인사문제를 비롯해 각 부처의 중요 결정 사항이 정해진다고 한다. 그래서 장관들 대면보고가 차단되고 모든 것을 서류로 올리라고 하는 것이다”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앞서 2014년 7월 7일 박영선 의원은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밤에 외출을 자주 한다고 들었는데, 목격자가 있다. 왜 밤에 자주 외출하나요?”라고 물었다.

이에 대통령비서실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밤에 외출한다는 게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다”고 대답했다.

박영선 의원이 “제가 그런 얘기를 들었다. 그것도 서류를 잔뜩 싸들고 밤에 외출하는 것을 본 사람이 있다”고 질문하자,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그러니까 어디에서 외출을 한다는 말씀이신지 모르겠다. 밤이란 몇 시를 얘기하는지…”라며 발뺌했다.

이에 박 의원이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서면 자료를 잔뜩 싸들고 외출하는 것을 봤다는 사람이 있다, 그것도 자주”라고 추궁하자, 이재만 비서관은 “그게 제가 어떤 특정한 목적이 있어서 어디 외출한다는 의미보다는 청와대에서 집으로 갈 때 제가 하다 만 서류라든지 또 집에 가서 보기 위한 자료들을 가지고 가는 수가 있다”고 대답했다.

박영선 의원은 “(청와대) 서류를 그렇게 외부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라고 지적하면서 “보자기에 싸서 들고 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거듭 물었다.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제가 보자기에 싸서 뭘 들고 나간 적은 전혀 없다”고 대답하자, 박영선 의원은 “총무비서관이 청와대 서류를 함부로 밖으로, 집으로 가져갑니까?”라며 “대한민국이 뭐가 잘못돼도 굉장히 잘못돼 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박 의원은 질의 말미에도 “왜 그 밤에 자주 서류를 싸들고 밖으로 외출하는지에 대해서 서면으로 답변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이성한 미르재단 전 사무총장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로 지목되는 최순실씨가 거의 매일 청와대로부터 30㎝ 두께의 ‘대통령 보고자료’를 받아 직접 검토했다고 말했다.

이성한 전 사무총장은 “보고자료는 주로 청와대 수석들이 대통령한테 보고한 것들로 거의 매일 밤 청와대의 정호성 제1부속실장이 사무실로 들고 왔다”고 밝혔다. 정호성 제1부속실장은 청와대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비서관 중 한 명이다.

박영선 의원은 “당시 문고리 3인방(이재만, 정호성, 안봉근) 모두에게 확인하고 싶었지만 이재만 비서관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서 이재만 비서관에게만 질문할 수밖에 없었다”며, “당시 질문을 하면서도 최근 밝혀진 최순실 게이트처럼 국정 전반에 걸쳐 최순실씨가 대통령 위에서 국정을 농락하는 상황이 아니길 바랐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정상적인 국가라면 지금 밝혀지고 있는 최순실 게이트를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박영선 의원은 그러면서 “국회가 특검을 추진하면 절차가 있어 늦어지기 때문에 국가와 국민을 생각한다면 법무부장관이 즉각 특검을 실시해 모든 의혹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고 “특검이 미흡할 경우 제도적 단계를 밟아 국회가 주도해 다음단계로 가는 것이 국가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신종철 기자 sky@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