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라온시큐어,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 MAU 100만 돌파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는 일본 시장에 선보인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가 출시 9개월 만에 월간 순 이용자 수(이하 MAU) 100만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라온시큐어가 작년 7월 국내 보안기업 최초로 일본 시장에 출시한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는 자사의 FIDO 기반 다채널 사설인증 플랫폼 ‘터치엔 원패스(TouchEn OnePass)’를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 것이다. 일반 고객들을 위한 모바일 뱅킹이나 공공기관의 대국민 서비스 등에 적용되는 구축형 생체인증 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국내와 달리, 일본에서는 금융기관과 핀테크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방식의 서비스와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
라온시큐어, 일자리 창출 기여로 국무총리 표창 수상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는 ‘2020 일자리 창출 유공 정부포상’에서단체부문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일자리 창출 유공 정부포상’은 일자리 창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한 단체와 개인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최근 2년간 일자리 창출, 일과 생활의 균형 실천, 노동환경 개선 등에 앞장선 단체와 기업을 선정한다.라온시큐어는 지속적인 사업 확장으로 2018년 대비 2020년 임직원 수를 2배 늘렸으며, 이 중 R&D, 신사업 관련 인력 채용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올해에도 자회사 포함 80여명을 신규 채용한 라온시큐어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6년 연속 대졸 신입사
-
라온시큐어, 모바일 화면 캡쳐 방지 솔루션 GS인증 1등급 획득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자사의 모바일 화면 캡쳐 방지 정보보호 솔루션 ‘터치엔 안티캡쳐(TouchEn AntiCapture) v1.0’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의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로써 라온시큐어는 총 20건의 솔루션이 GS인증 1등급을 획득하게 됐다. GS인증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인증제도로, TTA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가 ISO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실제 운영 환경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소프트웨어의 기능, 성능,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소프트웨어는 공공기관 사업 발주 시 우선 구매 대상으로 지정된다.이번에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
라온시큐어,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 시장 출시 3개월만에 월 이용자 수 30만 돌파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는 자사의 FIDO 생체인증 플랫폼 ‘터치엔 원패스(TouchEn OnePass)’를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 생체인증 서비스가 일본 시장에서 출시 3개월 만에 월간 순 이용자 수(이하 MAU) 30만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라온시큐어에 따르면 지난 7월 일본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터치엔 원패스’를 활용한 생체인증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3개월 만에 해당 서비스의 MAU가 30만을 돌파하며 현지에서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는 일본 현지 파트너사의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 전반과 라온시큐어의 생체인증 기술 개발 노하우를 연계한 사업 모델로
-
라온시큐어, 행안부 모바일 공무원증 연내 구축한다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도입 사업’을 통해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을 연내 완료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7월, LG CNS, 시스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정부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사용하게 될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어 현재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이다.행정안전부는 그동안 공공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공인인증서 외에 생체인증, 모바일 인증 등 디지털 인증 수단을 추가적으로 모색해 왔으며, 모바일 신분증 사업 추진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ID (이하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방식을 최종 채택하였다. DID 방
-
라온시큐어, 국내 에너지 공기업 원격근무 시스템에 차세대 인증 체계 구축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는 자사의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인증 플랫폼 ‘원패스(OnePass)’를 국내 에너지 공기업에 구축 완료하였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공기업은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직원들의 재택 및 원격 근무가 증가함에 따라 정보시스템 사용자 접근통제와 인증체계 개선을 우선적으로 추진했고, 그 과정에서 시스템 보안성과 임직원들의 사용 편의성 모두를 고려하여 FIDO 생체인증 플랫폼을 도입했다.이번 구축은 FIDO 생체인증 솔루션이 최초로 가상사설망(VPN)에 적용된 사례로, 최신 VPN 장비로의 교체, 내부 관리체계 강화와 함께 생체인증 기술까지 도입하여 발빠르게 원격 근무의
-
라온시큐어, 美 FIPS 140-2 인증 획득...세계 수준 보안 기술력 입증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자사 암호모듈(Key# crypto v1.3)이 미국 연방정보처리 규격(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s)인 FIPS 140-2 인증을 획득했다고 12일 발표했다. FIPS 140-2 인증은 라온시큐어의 암호모듈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및 캐나다 사이버보안센터(Canadian Centre for Cyber Security, CCCS)의 암호화 모듈 및 장비에 대한 보안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FIPS 140-2 인증을 획득한 암호모듈은 기업용 암•복호화 전자서명 보안 솔루션인 키샵비즈(Key#biz)를 비롯해 FIDO생체인증 솔루션 터치엔원패스(TouchEn OnePass), 통합계정 권한 관리 솔루션 터
-
라온시큐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에듀테크’ 제공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총장 류수노)와 손잡고 7,951명 응시자에 안전하고 편리한 ‘에듀테크’ 환경을 제공했다. 에듀테크란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ICT 기술을 접목한 교육 서비스를 뜻한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4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와 ‘태블릿PC 기반의 온라인 시험 센터 구축’ 계약을 체결하고 자사 스마트 단말 관리 솔루션인 ‘원가드(OneGuard)’를 온라인 시험용 태블릿PC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방송대 교육용 태블릿PC에 적용된 ‘원가드’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에듀테크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시험
-
라온시큐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에듀테크’ 제공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총장 류수노)와 손잡고 7,951명 응시자에 안전하고 편리한 ‘에듀테크’ 환경을 제공했다. 에듀테크란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ICT 기술을 접목한 교육 서비스를 뜻한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4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와 ‘태블릿PC 기반의 온라인 시험 센터 구축’ 계약을 체결하고 자사 스마트 단말 관리 솔루션인 ‘원가드(OneGuard)’를 온라인 시험용 태블릿PC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방송대 교육용 태블릿PC에 적용된 ‘원가드’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에듀테크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시험
-
[로&스탁] 라온시큐어, NH농협 손잡고 비대면 금융 고객 편의성•보안성 높인다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NH농협은행 및 계열사 간편가입•간편인증 서비스를 구축한다. 라온시큐어는 최근 농협중앙회(회장 이성희), NH농협은행(행장 손병환)과 계약을 체결하고 자사 개방형 인증 통합 플랫폼 '원억세스(OneAccess)'를 기반으로 NH농협은행, 농협상호금융 및 계열사의 간편가입•간편인증 서비스 구축에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NH농협은 핀테크, 비대면 금융 거래 등 디지털 금융 생태계 변화에 맞춰 고객 편의성 향상과 수익 제고를 위해 오픈 인증 체계를 구축하고, NH농협은행 및 계열사에 간편가입•간편인증 서비스(NH OnePass-In)를 적용한다. NH농협 모바일 앱 가입자 수(중복 포함)
-
라온시큐어, 비대면•밀레니얼 시대 맞춰 직급 없애고 조직문화 혁신한다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전문성 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 마련을 위해 직급 체계 및 호칭을 개편한다고 지난달 3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상반기 경영보고’를 통해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6월 30일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 경영보고’를 진행했다. 매년 상•하반기 전직원이 한 곳에 모이는 행사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270여명의 직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라온시큐어는 이날 행사에서 7월 1일부터 직급 체계를 단순화하고 호칭 또한 ‘프로(Pro)’로 일원화한다고 발표했다. 수평적인 조직문화 마련과 전문성에 기반한 신속한 의사 결정으로 경쟁력
-
라온시큐어, 비대면•밀레니얼 시대 맞춰 직급 없애고 조직문화 혁신한다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510)가 전문성 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 마련을 위해 직급 체계 및 호칭을 개편한다고 지난달 3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상반기 경영보고’를 통해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6월 30일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 경영보고’를 진행했다. 매년 상•하반기 전직원이 한 곳에 모이는 행사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270여명의 직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라온시큐어는 이날 행사에서 7월 1일부터 직급 체계를 단순화하고 호칭 또한 ‘프로(Pro)’로 일원화한다고 발표했다. 수평적인 조직문화 마련과 전문성에 기반한 신속한 의사 결정으로 경쟁력
-
라온시큐어, 미국법인에 총50억원 투자
라온시큐어(042510, 대표 이순형)가 글로벌 사업 본격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의 일환으로 미국법인에 약 43억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2017년 6억원에 이은 추가 투자로, 누적 투자 규모는 약 50억원이다. 글로벌 신제품 출시를 본격화하고, IT 및 금융 보안 인증 분야 우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목적이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미국법인을 설립하고 2019년 前 백악관 사이버안보 자문위원이자 국제생체인증 표준협회 ‘FIDO얼라이언스(FIDO Alliance)’ 창립자인 라메시 케사누팔리(Ramesh Kesanupalli)를 CEO로 영입했다. 또한 인터넷 보안통신 기술표준 SSL(Secure Socket Layer) 창시자이자 세
-
라온시큐어, 자율주행 신뢰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증 선도할 것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410)가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의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신뢰 플랫폼 구축 시범 사업’을 수주했다.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김석환)이 주관하는 ‘2020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 중 하나로, 세종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도심 운행 및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 환경을 마련하고 부가서비스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사업에 라온화이트햇(대표 이정아), LG CNS(대표 김영섭), 언맨드솔루션(대표 문희창)과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으며, V2
-
라온시큐어, 지자체 공공서비스에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 최초 구축
ICT 통합보안 선도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042410)가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의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디지털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시범 사업’을 수주했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김석환)이 총괄하는 ‘2020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지자체 공공서비스에 DID 플랫폼을 적용하는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사업에 애드뱅크(대표 남지혁)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 분산ID (Decentralized IDentity, 이하 DID)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도민카드 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문 화이트해커 조직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한다. DID 플랫폼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