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엔씨소프트, 아이온 ‘만나러 가요, 숲 속의 픽셀 친구들’ 이벤트 실시
엔씨소프트(이하 엔씨(NC))의 MMORPG ‘아이온’이 다음 달 2일까지 ‘만나러 가요, 숲 속의 픽셀 친구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엔씨(NC)에 따르면‘만나러 가요, 숲 속의 픽셀 친구들!’ 이벤트는 인게임 미션을 수행해 다양한 아이템을 받을 수 있는 웹 이벤트이다. 이용자는 아이온 공식 홈페이지 내 ‘만나러 가요, 숲 속의 픽셀 친구들!’ 페이지에 접속해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아이온 이용자(76레벨 이상)는 이벤트 페이지에서 캐릭터 선택 후 게임 접속(2시간 이상) 및 루그부그의 임무(5개 이상)를 수행하면 페이지 하단의 ‘픽셀 친구 게임 판’에 도장(1개)을 찍을 기회를 얻는다. 이용자는 네잎클로버 게임
-
[주간추천종목] SK텔레콤·엔씨소프트·LG생활건강 등
KB증권, 하나금융투자, SK증권은 31일 주간추천종목으로 SK텔레콤, 삼성SDI, S-Oil, 엔씨소프트, 대우조선해양, 쏠리드, LG생활건강, 에이스테크, 고려아연 등을 꼽았다. KB증권에 따르면 S-Oil(010950)은 2020년 미국과 중국의 생산량 감소를 통해 Gasoline 수익성 상승이 기대된다. 또한 IMO2020 시행으로 하반기부터 Diesel 가격 강세가 예상되며, RUC/ODC는 6월 준공식 이후 현재까지 안정적인 상업가동을 지속중이라고 전했다. 삼성SDI(006400)는 하반기 국내 ESS 출하 및 수주 정상화, 소형전지 및 전자재료 사업부 평균 12% 이상의 양호한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 외에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의 편광필름 수요 급
-
엔씨소프트, 2분기 매출 4,108억, 영업이익 1,294억, 당기순이익 1,169억 기록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 이하 엔씨(NC))가 2019년 2분기 실적 결산(연결기준) 결과 매출 4,108억 원, 영업이익 1,294억 원, 당기순이익 1,169억 원을 기록했다.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15%, 63%, 당기순이익은 56%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6%, 19%, 17% 감소했다.제품별 매출은 모바일게임 2,238억 원, 리니지 501억 원, 리니지2 212억 원, 아이온 124억 원, 블레이드 & 소울 211억 원, 길드워2 159억 원이다. 지역별 매출은 한국 3,106억 원, 북미/유럽 252억 원, 일본 146억 원, 대만 88억 원이다. 로열티는 516억 원이다.모바일게임 매출은 리니지M의 신규 에피소드 업데이트와 출시 2주년 업데
-
엔씨소프트,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획득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 이하 엔씨(NC))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을 받았다.엔씨(NC)는 오늘(8일) ‘엔씨소프트서비스(대표 조정호)’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 현판식을 개최했다. 인증 현판식에는 ▲엔씨(NC) 구현범 최고인사책임자(CHRO, Chief Human Resources Officer) ▲엔씨소프트서비스 조정호 대표이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남용현 고용촉진이사, 장동수 부산지역본부장, 박재술 부산직업능력개발원장 등이 참석했다.엔씨(NC)는 장애인 고용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2018년 11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을 준비해왔다.
-
엔씨소프트, 2019년 1분기 매출 3,588억 원, 영업이익 795억 원, 당기순이익 747억 원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 이하 엔씨(NC))가 2019년 1분기 실적 결산(연결기준) 결과 매출 3,588억 원, 영업이익 795억 원, 당기순이익 747억 원을 기록했다.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 29%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0%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 영업이익은 61%, 당기순이익은 37% 감소했다.제품별 매출은 모바일게임 1,988억 원, 리니지 207억 원, 리니지2 216억 원, 아이온 123억 원, 블레이드 & 소울 233억 원, 길드워2 163억 원이다. 지역별 매출은 한국 2,595억 원, 북미/유럽 253억 원, 일본 77억 원, 대만 89억 원이다. 로열티는 574억 원이다.로열티 매출은 대만 리니지M의 업데이트 효과와 엔씨(NC) IP(Int
-
KTB證 “엔씨소프트, 클라우드 게임 시대 최대 수혜주”
KTB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036570, 전 거래일 종가 47만8000원)가 클라우드 게임 시대 개화시 국내 게임 업체들 중 최대 수혜주라고 25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상향했다. KTB투자증권에 따르면 엔씨소프트가 클라우드 게임 시대에 유리한 점은 고사양 게임 개발 능력은 이미 PC 게임 시절부터 검증되었다는 점과, 현재 서비스 중인 다수의 PC MMORPG 라인업을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에 그대로 이식 가능하기 때문이다. KTB투자증권 이민아 연구원은 “최근 구글의 '스타디아' 플랫폼 공개와 마이크로소프트의 'X클라우드' 출시 계획 공개 등 글로벌 업체들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준
-
미래에셋대우 “엔씨소프트, 중기 관점의 저점 매수 추천”
미래에셋대우는 엔씨소프트(036570, 전일 종가 43만3500원)가 올해 안에 출시될 예정인 모바일 게임 신작과 리니지M 대규모 업데이트 및 리니지 리마스터 적용으로 견조한 흐름이 예상된다며 중기 관점의 저점 매수를 추천한다고 13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70만원을 유지했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의 4분기 매출액은 3997억원(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전 분기 대비 1% 감소), 영업이익은 1126억원(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 전 분기 대비 19% 감소)을 기록하며 시자 기대치인 4070억원과 1310억원을 하회했다. 미래에셋대우 김창권 연구원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실적에도 리니지M 매출액은 3분
-
엔씨소프트, 2018년 매출 1조 7,151억, 영업이익 6,149억…리니지 전년 대비 39% 성장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가 2018년 연간 실적 결산(이하 연결기준) 결과 매출 1조 7,151억 원, 영업이익 6,149억 원, 당기순이익 4,215억 원을 기록했다.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5% 상승했으나, 매출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 5% 감소했다.4분기 실적은 매출 3,997억 원, 영업이익 1,126억 원, 당기순이익 676억 원이다.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5%, 41% 하락했고, 당기순이익은 44% 줄었다.연간 매출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한국 1조 2,334억 원, 북미/유럽 1,283억 원, 일본 352억 원, 대만 367억 원이다. 로열티 매출은 2,816억 원이다. 제품별로는 모바일게임 9,133억 원, 리니지 1,497억 원, 리니지2 639억 원, 아이온 634억 원, 블
-
메가박스, 엔씨소프트와 손잡고 키즈카페 '타이니’ 공식 오픈
메가박스(대표 김진선)가 게임전문기업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와 18일 키즈카페 '타이니(TINY)’를 공개하고 키즈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양사는 지난해 12월 ‘키즈 플랫폼 사업’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신사업 육성에 힘을 보태기로 한 바 있다. 문화콘텐츠 기업으로서 양사는 교육과 기술, 그리고 F&B가 접목된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타이니(TINY)’를 메가박스 상암월드컵경기장점 2층에 공식 오픈한다.‘타이니’는 창의력과 상상력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키즈카페로 아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놀이 콘텐츠에 디지털을 접목한 공간들과 부모에게는 진정한 휴식처가 될 수 있는 F&B존 등을 운영한다.디지털 미디어를 결합한 트램폴린, 클라
-
메가박스, 엔씨소프트와 업무 제휴로 키즈시장 본격 출사표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대표 김진선)가 게임전문기업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와 ‘키즈 플랫폼 사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엔씨소프트 판교R&D센터에서 김진선 메가박스 대표, 심승보 엔씨소프트 전무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상호발전적인 파트너십 체결로 신사업 육성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양사는 문화콘텐츠 기업이라는 공통 분모를 가지고 아이들의 꿈과 미래를 응원하기 위해 키즈 관련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고, 교육과 기술, 그리고 F&B가 접목된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타이니(TINY)’를 내년 초 선보일 예정이다. ‘타이니’는 창의력과 상상력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키
-
유진證 “엔씨소프트, 리니지2M・블소2・아이온 템페스트 등 신작 출시 기대”
유진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036570, 전 거래일 종가 42만500원)의 신작 출시 시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내년 2분기부터 신작이 실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10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47만원을 유지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728억원(전년 동기 대비 48.7% 감소, 전 분기 대비 14.6% 감소), 영업이익은 1186억원(전년 동기 대비 63.8% 감소, 전 분기 대비 25.7% 감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6월 말 진행된 대형 업데이트 효과로 리니지M의 매출감소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3분기 리니지M의 일평균 매출액은 약 22억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모바일게임 매출액은
-
SK증권 “엔씨소프트, 하반기 실적 감소에도 내년 기대작 기대감으로 주가 반등할 것”
SK증권은 엔씨소프트(036570, 전 거래일 종가 38만5000원)가 2분기 리니지M의 매출 감소로 전 분기에 비해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나 대체로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거뒀다며, 하반기에도 신작 부재로 영업이익 감소는 불가피하나 내년 기대작(리니지2M, 블소2, 아이온 템페스트) 출시로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16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48만원을 유지했다. SK증권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4365 억원(전 분기 대비 8.1% 감소), 영업이익 1595억원(전 분기 대비 21.7% 감소, 영업이익률 36.5%)이다. 프로모션 효과로 리니지 매출은 증가했지만 리니지M 의 매출이 감소하며 매출액은 전기 대
-
엔씨소프트 스푼즈, 롯데컬처웍스와 브랜드 제휴 체결
엔씨소프트는 자사 캐릭터 브랜드 ‘Spoonz(이하 스푼즈)’가 20일 롯데컬처웍스와 브랜드 제휴를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엔씨소프트에 따르면 스푼즈는 엔씨의 게임 캐릭터를 모티브로 개발한 캐릭터 브랜드로, 5종의 캐릭터(비티(BT), 신디, 디아볼, 핑, 슬라임)가 가상의 섬 ‘스푼즈 아일랜드’에서 만들어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엔씨는 8월 중 스푼즈 캐릭터가 등장하는 미니게임을 롯데시네마 모바일 앱(App)에 선보인다. 이용자는 2주 간의 플레이 순위(상위 100명)에 따라 다양한 선물(영화 관람권, 팝콘 교환권 등)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모든 게임 이용자는 랜덤하게(무작위로) 영화 할인권과 매점 할인권을 받
-
하나금투 “엔씨소프트, 신규 대작게임 출시 지연으로 실적개선 난항 예상”
하나금융투자는 엔씨소프트(036570, 전일 종가 34만7000원)가 리니지M의 꾸준한 매출은 고무적이나 신규 대작게임의 출시 지연이 우려스럽다며 연말까지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11일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에서 중립으로 변경, 목표주가도 58만원에서 38만원으로 하향했다. 하나금투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의 1분기 매출액은 4752억원(전 분기 대비 11% 감소)을 기록했다. 게임매출은 18% 감소한 반면 로열티매출은 대만 리니지M 로열티 유입효과로 전 분기 대비 41% 증가했다. 리니지M의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모바일게임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9.3% 감소한 2641억원을 기록했으며, 리니지M이 출시된지 6개월
-
키움증권 “견고한 유저층의 리니지M, 엔씨소프트 실적 이끌 것”
키움증권이 엔씨소프트(036570, 전일 주가 40만9000원)의 지난 4분기 실적이 시장기대치를 하회했지만 리니지M의 꾸준한 매출로 올 상반기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8일 예측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53만원을 유지했다. 엔씨소프트의 지난 4분기 실적은 매출액 5333억원(지난 분기 대비 26.7% 감소), 영업이익 1892억원(지난 분기 대비 42.3% 감소)를 기록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매출은 추정치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비용부문에서 특별 상여금지급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예상보다 컸고 마케팅비용이 소폭 증가하면서 이익이 기대치를 소폭 하회한 것으로 여겨진다. 키움증권은 엔씨소프트가 올 1분기에는 길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