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락앤락이 전국적으로 진행한 자원순환 프로젝트 ‘러브 포 플래닛’의 올해 일정을 마무리했다.
락앤락은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 경기, 부산, 제주 등지에서 폐플라스틱 밀폐용기 수거 캠페인을 진행해 총 2만여 개의 용기를 모았다. 이번 활동은 사단법인 제주올레와 협력해 이뤄졌으며, 기업과 학교 등 50인 이상 단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수거 캠페인’도 함께 운영됐다. 회사 측은 “단순한 환경운동이 아니라, 소비자가 자원순환의 의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수거된 플라스틱은 제주 올레길 내 업사이클링 벤치 ‘모작벤치’로 재탄생했다. ‘모작’은 ‘매듭’을 뜻하는 제주어로, 자연과 사람의 연결을 상징한다. 올해 새로 설치된 벤치는 8좌로, 올레 3코스 소금막 구간과 4코스 해병대길 구간에 배치됐다. 2020년 이후 현재까지 총 57좌가 조성됐으며, 지역 주민과 여행객을 위한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락앤락 관계자는 “러브 포 플래닛은 제품 수거에 그치지 않고, 그 결과물이 다시 지역사회의 자산으로 돌아가는 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락앤락은 지난 9월 제주지역에서 노사 합동으로 환경정화 캠페인 ‘러브 포 제주’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자전거로 제주올레길 일대를 이동하며 플로깅을 실시하고, 해변 정화 활동과 물품 기부 행사도 함께 진행했다.
락앤락은 장기적으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소재 제품 개발, 사막화 방지 활동 등 ESG 중심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락앤락은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 경기, 부산, 제주 등지에서 폐플라스틱 밀폐용기 수거 캠페인을 진행해 총 2만여 개의 용기를 모았다. 이번 활동은 사단법인 제주올레와 협력해 이뤄졌으며, 기업과 학교 등 50인 이상 단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수거 캠페인’도 함께 운영됐다. 회사 측은 “단순한 환경운동이 아니라, 소비자가 자원순환의 의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수거된 플라스틱은 제주 올레길 내 업사이클링 벤치 ‘모작벤치’로 재탄생했다. ‘모작’은 ‘매듭’을 뜻하는 제주어로, 자연과 사람의 연결을 상징한다. 올해 새로 설치된 벤치는 8좌로, 올레 3코스 소금막 구간과 4코스 해병대길 구간에 배치됐다. 2020년 이후 현재까지 총 57좌가 조성됐으며, 지역 주민과 여행객을 위한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락앤락 관계자는 “러브 포 플래닛은 제품 수거에 그치지 않고, 그 결과물이 다시 지역사회의 자산으로 돌아가는 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락앤락은 지난 9월 제주지역에서 노사 합동으로 환경정화 캠페인 ‘러브 포 제주’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자전거로 제주올레길 일대를 이동하며 플로깅을 실시하고, 해변 정화 활동과 물품 기부 행사도 함께 진행했다.
락앤락은 장기적으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소재 제품 개발, 사막화 방지 활동 등 ESG 중심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