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스메카코리아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협력하여 차세대 친환경 선스크린 개발에 성과를 거두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수용성 자외선 차단 성분인 PBSA의 한계를 규명하고, 친수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PVA)을 활용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PBSA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아 자외선 차단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PVA를 도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PVA는 PBSA의 연속적인 필름 형성을 촉진하여 자외선 흡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으며,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실험 결과, 자외선 차단 성능은 기존 대비 최대 17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별도의 오일 성분 없이도 강력하고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기존 선케어 제품의 환경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능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코스메카코리아의 황준필 책임연구원은 "자외선 차단 효율은 성분의 화학적 흡수율뿐 아니라 피부 위에서 형성되는 층의 균일성이 좌우한다"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유변학적 요인이 실제 차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PBSA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아 자외선 차단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PVA를 도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PVA는 PBSA의 연속적인 필름 형성을 촉진하여 자외선 흡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으며,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실험 결과, 자외선 차단 성능은 기존 대비 최대 17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별도의 오일 성분 없이도 강력하고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기존 선케어 제품의 환경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능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코스메카코리아의 황준필 책임연구원은 "자외선 차단 효율은 성분의 화학적 흡수율뿐 아니라 피부 위에서 형성되는 층의 균일성이 좌우한다"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유변학적 요인이 실제 차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