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의료·제약

분당차병원 암센터 전홍재·김정선 교수팀, 간세포암 환자 대상 ‘치유적 전환치료’ 글로벌 연구 결과 발표

2025-09-17 17:56:26

(왼쪽부터)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전홍재, 김정선 교수. 사진=분당차병원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전홍재, 김정선 교수. 사진=분당차병원
[로이슈 전여송 기자]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윤상욱) 암센터 종양내과 전홍재 교수(공동교신)와 김정선 교수(공동 1저자) 연구팀이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AB) 병용요법 치료의 ‘치유적 전환치료(Conversion Therapy)’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전 세계 48개 의료기관과 협력해 진행한 대규모 국제 공동연구 결과로 간암 분야 권위 학술지 Liver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17일 분당차병원에 따르면 치유적 전환치료는 처음에는 암이 너무 진행돼 수술이나 이식이 불가능했던 환자에게 항암치료를 먼저 시행해 종양 크기를 줄인 후 간이식이나 간절제 같은 근치적 치료(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로 이어가는 방법이다. 이는 수술 대상이 아니었던 환자가 항암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이면 수술적 완치의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연구는 간세포암 환자 2,379명을 대상으로 1차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AB) 병용요법과 렌바티닙(LENV)을 비교해 치유적 전환치료 가능성을 분석한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 기반 연구다.

연구팀은 초기에는 수술이나 이식이 불가능했던 환자들이 항암치료 후 암이 줄어들어 간절제나 간 이식 등 근치적 치료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집중 분석했다. 그 결과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요법 반응률은 29%로 렌바티닙 24% 보다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전환 잠재력도 16%로 렌바티닙 13%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요법 치료 후 근치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93%로, 면역항암제가 장기 생존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만, 실제 전환율은 두 군 모두 3%로 낮게 나타나 환자 선별 과정과 다학제 진료, 간이식 프로그램 등 치료 인프라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전환 기회의 손실(under-conversion)이라 정의하며, 향후 치료 전략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홍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면역항암치료가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근치적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규명한 첫 성과”라며 “앞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과 다학제 협진을 강화해 더 많은 환자들에게 근치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