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콘텐츠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산돌(대표 윤영호)이 자사의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에 숏폼 영상과 굿즈 제작 수요가 급증하며, 관련 폰트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산돌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은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된다"라며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케데헌은 이달 초 2억6600만 시청 수로 전체 넷플릭스 콘텐츠 중 역대 1위에 올랐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폭발적인 반응을 얻자, 팬들은 영화 속 장면과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숏폼 영상과 패러디 굿즈를 제작하며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산돌 관계자는 "틱톡·인스타그램 릴스 등 숏폼 영상에서 자막은 사실상 필수 요소가 됐다"라며 "미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80%의 소비자가 영상에 자막이 제공되면 동영상을 끝까지 시청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공공장소는 물론 개인적인 환경에서도 소리를 끄고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막은 시청 지속률을 높이는 핵심 장치로 자리 잡았다.
이로 인해 영상 몰입도를 높이고 밈 확산을 가속화하는 개성 있는 폰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팬아트와 패러디 이미지에도 제목용 폰트가 적극 활용되며 폰트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산돌구름 집계에 따르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된 이후 한 달간 숏폼 자막·제목 디자인·팬 제작 굿즈에 주로 쓰이는 인기 폰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늘었다.
HG키큰꼬딕씨는 36% 증가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화면을 가득 채우는 키큰 비율 덕분에 숏폼 자막과 강렬한 제목 디자인에 최적화됐다. Sandoll 시네마극장은 29% 상승했다. 복고풍 감성으로 주목도를 높여, 영화 간판이나 옛 극장 타이틀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 밈과 패러디 영상 제작에서 많이 활용됐다. Sandoll 액션스텐실은 글자가 잘린 듯한 구조로 역동적인 분위기를 살려 팬아트·포스터 제작에 각광받으며 사용량이 25% 늘었다.
한편, Sandoll 네모니는 각진 구조와 뚜렷한 인상으로 타이틀·배너 디자인에 활용되며 사용량이 12% 증가했다. Sandoll 호요요는 귀여운 분위기로 굿즈 제작 등에서 인기를 얻어 7% 늘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산돌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은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된다"라며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케데헌은 이달 초 2억6600만 시청 수로 전체 넷플릭스 콘텐츠 중 역대 1위에 올랐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폭발적인 반응을 얻자, 팬들은 영화 속 장면과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숏폼 영상과 패러디 굿즈를 제작하며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산돌 관계자는 "틱톡·인스타그램 릴스 등 숏폼 영상에서 자막은 사실상 필수 요소가 됐다"라며 "미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80%의 소비자가 영상에 자막이 제공되면 동영상을 끝까지 시청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공공장소는 물론 개인적인 환경에서도 소리를 끄고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막은 시청 지속률을 높이는 핵심 장치로 자리 잡았다.
이로 인해 영상 몰입도를 높이고 밈 확산을 가속화하는 개성 있는 폰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팬아트와 패러디 이미지에도 제목용 폰트가 적극 활용되며 폰트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산돌구름 집계에 따르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된 이후 한 달간 숏폼 자막·제목 디자인·팬 제작 굿즈에 주로 쓰이는 인기 폰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늘었다.
HG키큰꼬딕씨는 36% 증가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화면을 가득 채우는 키큰 비율 덕분에 숏폼 자막과 강렬한 제목 디자인에 최적화됐다. Sandoll 시네마극장은 29% 상승했다. 복고풍 감성으로 주목도를 높여, 영화 간판이나 옛 극장 타이틀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 밈과 패러디 영상 제작에서 많이 활용됐다. Sandoll 액션스텐실은 글자가 잘린 듯한 구조로 역동적인 분위기를 살려 팬아트·포스터 제작에 각광받으며 사용량이 25% 늘었다.
한편, Sandoll 네모니는 각진 구조와 뚜렷한 인상으로 타이틀·배너 디자인에 활용되며 사용량이 12% 증가했다. Sandoll 호요요는 귀여운 분위기로 굿즈 제작 등에서 인기를 얻어 7% 늘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