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인크루트 "회의 시간 가장 많이 딴짓하는 직급은 ‘대리’"

2025-09-16 17:27:51

인크루트 "회의 시간 가장 많이 딴짓하는 직급은 ‘대리’"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 기자] 직장인 중 회의 시간에 가장 많이 딴짓하는 직급은 ‘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604명에게 ‘귀사의 회의 문화는 어떤가요?’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먼저 회사에서 평균적으로 회의를 하는 빈도수를 물었다"라며 "가장 많은 응답으로 ▲평균 주 1회가 26.3%로 나타났다"라고 전했다.

뒤이어 ▲평균 월 1회 또는 미만(22.2%), ▲평균 월 2~3회(21.9%), ▲평균 주 2~3회(19.7%)로 조사됐다. ▲평균 주 4~5회 이상 회의를 한다는 응답도 9.9%에 달했다.

이를 기업 규모별로 교차 분석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평균 주 2~3회(대기업 33.3%, 중견기업 26.9%)가 가장 많았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은 ▲평균 주 1회(공기업 및 공공기관 30.9%, 중소기업 25.7%)로 가장 많았다.

회의 한 번의 평균 소요 시간도 물었다. ▲평균 30분~1시간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평균 30분 미만(26.7%), ▲평균 1~2시간 미만(24.3%)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회의 시간에 주도해서 발언하는지도 물었다. 47.4%의 응답자가 ▲아니다(아니다 37.3%, 매우 아니다 10.1%) 라고 답했다. 반면 ▲그렇다는 답변은 38.7%로 집계됐다. (▲그렇다 30.8%, ▲매우 그렇다 7.9%)

이를 직급별로 나눠서 분석했다. 사원(60.6%), 대리(55.0%), 과장(47.1%)의 경우 ▲아니다(아니다, 매우 아니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직급이 높아질수록 회의에서 주도해서 발언한다는 비율이 높아졌다. 차장(49.1%), 부장(56.1%), 임원(77.6%)의 경우 ▲그렇다(그렇다, 매우 그렇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에게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는지’ 물었다. 56.0%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이를 직급별로 분석해 봤다.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직급은 ▲대리로 70%가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뒤이어 ▲과장 62.4%, ▲부장 59.8%, ▲임원 55.2%, ▲차장 50.9%가 회의 시간에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원급의 경우 46.9%가 딴짓을 한 적이 있다고 답변해 직급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회의 때 딴짓을 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에게 어떤 종류의 딴짓을 했는지 물었다(복수 응답). 가장 많은 응답으로는 ▲다른 생각하기(멍때리기, 공상하기 등)가 61.5%로 나왔다. 또 ▲다른 업무하기 34.9%, ▲동료 또는 친구와 메신저하기 27.5%, ▲웹 서핑하기 21.3%로 나왔다.

또 응답자들에게 회의가 효율적인지도 물었다. 전체 응답자의 38.1%는 효율적(▲매우 그렇다 5.1%, ▲그렇다 32.9%)이라고 생각했다. 뒤이어 ▲잘 모르겠다(31.8%), ▲아니다(20.5%), ▲매우 아니다(9.6%) 순으로 집계됐다.

회의가 비효율적(▲매우 아니다 9.6%, ▲아니다 20.5%)이라고 응답한 답변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복수 응답). ▲’의견 상관없이 이미 결론이 정해져 있어서’가 56.0%로 다수로 나타났다. 이밖에 ▲회의의 목적이나 결론이 없어서(52.7%), ▲회의하지 않아도 해결할 수 있는 안건이어서(34.1%), ▲회의 준비부터 진행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해서(21.4%) 등이 비효율적인 이유로 꼽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