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남화영)는 지난 1일부터 오는 30일까지 도로공사 현장과 양식장, 야생동물 퇴치용 전기울타리 시설 등 375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달 경북지역에서 벌초에 나섰던 60대가 전기울타리에 감전돼 숨지는 사고가 났고, 이에 앞서 도로공사 현장과 양식장에서도 감전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최근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안전화, 절연장갑 등 안전장구 미착용 △분전반 내 누전차단기 미설치 △수중모터 외함 미접지 △비규격전선 사용 △임의 시공 등으로 나타났다.
전기안전공사는 지역별로 지자체 등과 합동점검반을 편성하고, 확인된 위험 요인은 현장에서 즉시 안전조치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등 행정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특히, 임의‧불법 시공됐거나, 식별이 어려운 전기울타리는 지자체 이장단협의회를 통해 위험성을 홍보하고 임의‧불법 시설물 신고제도를 활용해 점검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남화영 사장은 “도로공사 현장이나 양어장 등 전기안전 취약시설에 전기설비 유지‧관리 매뉴얼과 체크리스트를 배포해 자율점검을 유도하고 사회관계망(SNS),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기울타리 임의‧불법 시공이 근절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지난달 경북지역에서 벌초에 나섰던 60대가 전기울타리에 감전돼 숨지는 사고가 났고, 이에 앞서 도로공사 현장과 양식장에서도 감전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최근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안전화, 절연장갑 등 안전장구 미착용 △분전반 내 누전차단기 미설치 △수중모터 외함 미접지 △비규격전선 사용 △임의 시공 등으로 나타났다.
전기안전공사는 지역별로 지자체 등과 합동점검반을 편성하고, 확인된 위험 요인은 현장에서 즉시 안전조치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등 행정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특히, 임의‧불법 시공됐거나, 식별이 어려운 전기울타리는 지자체 이장단협의회를 통해 위험성을 홍보하고 임의‧불법 시설물 신고제도를 활용해 점검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남화영 사장은 “도로공사 현장이나 양어장 등 전기안전 취약시설에 전기설비 유지‧관리 매뉴얼과 체크리스트를 배포해 자율점검을 유도하고 사회관계망(SNS),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기울타리 임의‧불법 시공이 근절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