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한화에 따르면 여천NCC는 올해 초 국세청 세무조사에서 DL케미칼에 에틸렌, C4RF1 등 제품을 저가로 공급했다는 이유로 1006억원의 법인세를 추징당했으며, 국세청은 이 거래가 시장가보다 저렴하게 이뤄지면서 DL그룹이 부당한 이익을 취했다고 판단했다.
한화는 "1999년 합작 당시 체결되어 2024년 12월 종료된 이 계약을 두고, 한화는 국세청 과세와 현 시장 상황을 반영해 시가 계약 체결을 주장하고 있으나 DL은 이를 반대하며 현재까지 임시 가격으로 거래가 진행 중"이라며 "DL에서는 한화 측이 일방적으로 지난 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에틸렌을 한화 계열사들에 공급해 여천NCC의 손해를 누적시켰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동 가격은 2025년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격 수준이며 대림이 거래하는 가격과도 같다"고 했다.
또한 한화는 "에틸렌과 DL 측에만 거래되는 C4RF1 등은 국세청 조사에서 ‘시장가 대비 저가 거래’로 지목 받은 대표적인 품목으로, 국세청 추징금의 96%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세청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장가격으로 계약이 새롭게 체결되어야 하나 대림은 받아 들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화 측은 "DL케미칼에 대한 증자가 결정했다는 공시가 있었지만 자금 용도가 '운영자금'으로 기재되어 있어 여천NCC에 대한 실제 지원 의사가 확인이 어렵다"면서 "여천NCC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려면 DL케미칼 이사회와 여천NCC 이사회 등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직 한화와 어떠한 협의도 진행한 바 없다"고 밝혔다.
한화는 "자금 지원 의사가 확고하며, DL 측에 신속한 협의를 통해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회사를 정상화가 이뤄지길 희망한다"며 "공급 계약은 신속한 자금 지원 이후 당사자간 협상읕 통해 공정한 조건으로 체결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여천NCC는 석유화학 산업 장기 불황으로 인해 전남 여수 3공장 가동을 임시 중단하기로 했다. 3100억원의 자금 부족을 해결하지 못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수 있는 상황까지 직면했다. 지난달 1500억원 추가 자금 대여를 승인한 한화와 달리 DL은 자구책 마련이 우선이라며 입장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11일 오후 DL케미칼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2000억원 유상증자 안건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한편, 석유화학 합작법인 여천NCC는 한화솔루션(옛 한화석유화학)과 DL케미칼(옛 대림산업)이 지분 50%씩을 보유하고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