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는 인간의 혈액, 다발성 장기 전이 모델, 폐 조직 유래 세포를 포함한 통합 감염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감염 취약 장기인 폐와 간 그리고 혈액에서 세균 성장 억제를 가능케 할 새로운 통합적 항생제 표적 유전자 타깃 27종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특정 장기나 유전자에 국한되어 감염 경로 전체를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연구는 대규모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활용해 감염 전 과정에서 세균의 생존 전략과 병원성을 정밀하게 분석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감염 특이적 유전자 정보를 계통별로 체계화한 점에서 향후 새로운 항생제 개발 및 감염 제어 전략 수립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원식 교수는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전 세계적으로 약 39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번 연구는 내성균 대응을 위한 항생제 표적 개발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며 내성균 감염이 증가한 만큼, 향후 다른 슈퍼박테리아에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기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2025년 7월 28일자로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