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황령산에 필요한 것은 개발업자의 이익이 아니라 시민허파 그 자체다"

시민 외면하고 황령산 난개발 강행하는 부산시 강력 규탄

2025-07-21 11:46:21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이미지 확대보기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시는 시민 85%가 모르는 황령산 난개발 사업(봉수전망대 및 케이블카)을 즉각 백지화하라! 부산시는 전파간섭 문제 등 모든 문제점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라! 부산시는 시민의 안전과 황령산의 생태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보전 방안을 시민사회와 함께 논의하라!”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는 7월 21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황령산 난개발 기어코 인가한 부산시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황령산에 필요한 것은 개발업자의 이익이 아니라 시민허파 그 자체"라고 이같이 밝혔다.

기자회견은 이보름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공동사무국장(부산경실련 팀장)의 사회로, 이성근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부산그린트러스트 상임이사)의 인사말, 박정희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운영위원(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의 발언, 기자회견문 낭독,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는 그동안 수차례 기자회견과 입장문, 의견서를 통해 황령산 유원지 봉수전망대 및 케이블카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발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혀왔다.

그러나 부산시는 지난 7월 16일, 시민사회의 정당한 우려와 요구를 묵살하고 황령산유원지 봉수전망대 조성사업에 대한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를 고시했다. 이로써 사업자는 실시인가일로부터 6개월 이내 착공이 가능하게 됐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이는 시민과의 소통을 철저히 저버리고, 황령산의 미래를 파괴하는 부산시의 독단적인 행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이번 실시계획 인가는 환경영향평가에서 명백히 지적된 전파간섭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이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파장해 해소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와 명확한 해소 방안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방송 3사와의 합의가 전제되어야 착공할 수 있다는 부산시의 입장이 있었음에도, 부산시는 명확한 해소 방안 없이 조건부로 인가를 내주었다"며 시민의 시청권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사업을 밀어붙이는 부산시의 행태를 강력히 규탄했다.

또한 부산시는 지금까지 시민사회가 지적해온 환경 파괴, 경관 훼손, 전파 방해로 인한 시민 안전 위협, 그리고 하부 승강장 진입로 안전 문제, 경제성 분석에 대한 부족한 근거 등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명확한 해명이나 조치 없이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1단계 케이블카 노선에 서식중인 천연기념물 조류며 정상부에 수시로 보이는 멸종위기종 2급 조류를 본 적이 없다거나, 명백한 식생등급 조작 의혹에 대해 문제 없음으로 처리한 환경영향평가를 시민사회는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황령산에 2.2km에 달하는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2단계 연장 사업은 지난 6월 25일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재심의 결정이 내려졌다. 심의에서는 케이블카 노선과 154kV 고압선 송전선로가 겹치고, 동식물 서식지 훼손 등 환경적 영향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한다. 이는 부산시 스스로도 2단계 사업의 문제점을 인정한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1단계 사업을 무리하게 강행하려는 부산시의 태도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사업의 전면 재검토와 시민사회와의 진정한 소통을 요구했다.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는 "황령산이 미래 세대에 온전히 물려줄 소중한 유산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시민의 힘으로 황령산을 지켜내고, 부산의 미래를 더욱 푸르게 만들 것을 확신한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