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도걸 의원은 “이전 정부의 국가재정운용계획은 비현실적 가정에 기반하고 있어 현실화된 새로운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목했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국가재정운용계획’엔 지난해 이후 5년간 국세수입은 연평균 4.3% 늘고 재량지출은 연평균 1.1% 증가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그런데 안 의원은 “이전 정부의 100조원 규모의 역대급 세수결손과 0%대 경제성장률을 고려하면 국세수입 증가율은 계획보다 더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안도걸 의원은 “재량지출 1%대 증가율은 인재양성·산업육성 등 신성장 동력을 위한 투자를 사실상 포기하겠다는 의미다”라고 맹공했다. 이어 “비현실적인 전제를 수정하면 관리재정수지와 국가채무 비율은 늘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단기 관점 재정 운영에서 벗어나 경기 변동 주기에 맞춘 재정수지 관리를 제안한다”며 “경제가 어려울 땐 확장 재정을·호황기엔 긴축 재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재정수지를 탄력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안도걸 의원은 안정적 세수 기반 확보를 위한 전방위적 세제·세정 정상화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전 정부의 법인세 인하에 대해 안 의원은 “감세에 따른 성장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2년간 법인세는 약 7조원 감소하고 민간투자 증가율은 2021년 6%에서 올 1분기 4.7% 급감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안 의원은 “유류세를 인하한 2021년도 국제유가는 배럴당 80달러 수준이었는데 올 6월 유류세 감면 연장 시점엔 배럴당 70달러로 떨어졌다”며 “4년째 지속 중인 유류세 인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목하기도 했다.
한편 증권거래세에 대해서도 안 의원은 “금투세 시행을 전제로 증권거래세를 단계적으로 인하했으나 금투세가 폐지됐다”며 “헝클어진 세제와 세정의 정상화를 단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안 의원은 “재정 여건이 제약된 상황에서 민간으로부터 투자 재원을 조달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민간투자사업 촉진을 위한 ▲총사업비 탄력적 조정 ▲금융기관 대출위험 가중치 인하 ▲절차간소화 등의 제도 개선과 미래 혁신 산업 투자(R&D·설비·인력)를 위한 국민 성장 펀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